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15일 오후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옛날방식 : 민주당 조직동원
‘한겨레’ 사옥 찾아 대선 출마 이후 언론 최초 인터뷰
“이기고 보자는 태도, 대선 패배”
“문 후보, 모르는 부분 많아…보고 못받으셨더라”
‘한겨레’ 사옥 찾아 대선 출마 이후 언론 최초 인터뷰
“이기고 보자는 태도, 대선 패배”
“문 후보, 모르는 부분 많아…보고 못받으셨더라”
[인터뷰 전문보기]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는 15일 <한겨레> 인터뷰에서 단일화 룰 협상을 중단한 이유에 대해 “옛날 방식의 정치경쟁, 과정을 중시하지 않고 결과 위주로, 상대를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고 경쟁 상대로만 바라보는 관점들, 그런 관점이 바닥에 깔려 있으면 거기서 온갖 문제가 파생된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현재 논의가 진행중인 새정치 공동선언문에 이번 단일화 과정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공동선언에 ‘옛날 방식 정치경쟁’ 문제의 개선책을 담아야 단일화 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안 후보가 언급한 ‘옛날 방식의 정치경쟁’은 단일화 경선에 대비해 민주통합당이 이런저런 방식의 조직을 동원하는 것을 말한 듯하다. 안 후보 쪽 단일화 협상팀은 논의 첫날 ‘조직동원은 하지 말자’는 문구를 단일화 합의문에 넣자고 제안했으나 민주당은 이를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옛날 방식’이 조직동원이냐는 물음에 안 후보는 답을 하지 않았다.
안 후보는 협상 중단에 대해 “두 후보가 경쟁해서 누군가 뽑히는 것이 단일화인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기면 된다는 태도로 간다면 대선 패배와 직결된다. 그걸 막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옛날 방식의 정치경쟁’과 관련해 “문재인 후보가 아시지 못하는 부분이 많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전부터 여러 가지 일들이 있었다. 문 후보와 서로 (후보 등록 전 단일화를 위한) 7개항을 공동으로 합의한 바로 그다음 날부터 계속 매일 이런 일들이 있어서 문 후보께 알리라고 한 부분도 있었는데, (통화를 해) 보니까 보고를 못 받으셨더라. 그런 부분들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어 “현재 논의가 진행중인 새정치 공동선언문에도 이번 단일화 과정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어야 할 것 같다. 실제로 어떤 것들을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는 약속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새정치 공동선언문에 ‘조직동원은 하지 말자’는 취지의 문구를 넣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는 “경선에서 페어플레이를 요구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넓은 의미에서 그렇다”고 답했다.
안 후보 캠프가 단일화 협상 중단 사유 가운데 하나로 제시했던 이른바 ‘안철수 양보론’에 대해선 “양보는 절대로 없다. 지지자들이 그러면 서로 충분히 납득할 수 있겠는가”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안 후보는 오후 1시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를 방문해 6층 회의실에서 1시간 동안 인터뷰를 했다.
안 후보는 오전 공평동 캠프에서 문재인 후보의 협상 중단에 대한 사과 발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깊은 실망을 했다. 단일화는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이대로 가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저녁 언론사 정치부장들과의 만찬 자리에서 “문 후보 사과의 진정성은 믿는다. 그렇지만 문 후보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에 대해 다시 그런 일들이 벌어지지 않을 수 있는 어떤 행동이 나와야 한다. 구체적인 행동과 후속 조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관련 영상] 안철수 “문 후보님, 보고 차단돼서 모르세요…아유 참”
<한겨레 인기기사>
■ 청와대 직원이 이시형씨 전세금 일부 대납…“김윤옥씨와 가까운 분”
■ 외국인학교 부정입학 부른 ‘서울시의 특혜’
■ 신생아, 병원·조리원서 변종세균 MRSA 무방비 노출
■ 애플 아이패드 미니 3600대, 미국 공항서 도난
■ BP사 ‘멕시코만 원유유출’ 벌금 30억~50억달러
■ 화엄사 스님 ‘성추행’ 혐의 고소당해
■ [화보] 책임져야 사랑이다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15일 오후 서울 공덕동 한겨레신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임석규 정치부장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청와대 직원이 이시형씨 전세금 일부 대납…“김윤옥씨와 가까운 분”
■ 외국인학교 부정입학 부른 ‘서울시의 특혜’
■ 신생아, 병원·조리원서 변종세균 MRSA 무방비 노출
■ 애플 아이패드 미니 3600대, 미국 공항서 도난
■ BP사 ‘멕시코만 원유유출’ 벌금 30억~50억달러
■ 화엄사 스님 ‘성추행’ 혐의 고소당해
■ [화보] 책임져야 사랑이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