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기획한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시리즈의 첫 결실로 네 권의 책이 한꺼번에 나왔다. (... 2006-03-31 18:54
조명래 단국대 교수가 보수담론과 진보담론의 현 주소를 짚었다. 계간 봄 호에서 ‘지속가능한 진보’를 모색하는 특집글을 썼다. 보수의 한계, 진보의 가능성을 구분짓는 핵심개념으로 ‘생태’ 담론을 첫 손에 꼽... 2006-03-31 18:52
29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신우익(뉴라이트) 진영을 대표하는 ‘교과서 포럼’과 중도개혁을 표방하는 ‘좋은정책 포럼’이 마주 앉았다. 진보세력 및 좌파진영을 대표할만한 인사가 빠진 가운데서도, 참석자들의 ... 2006-03-29 21:18
족보가 디지털 자료로 모아진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존경각이 최근 사업 착수를 선언했다. 일제시기 이전에 발간된 족보 1만3000여책이 디지털화 대상이다. 앞으로 10년이 걸릴 대사업이다. 정보통신부가 ... 2006-03-24 18:35
386세대 학자들이 주도하는 계간 이 창간됐다. 사회과학을 전공한 81-86학번 학자들이 편집위원으로 참여했다. 창간 알림 자료에서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맞는 진보적 이론과 정책의 생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 2006-03-24 18:26
올들어 보수 언론들은 이른바 ‘뉴레프트’를 불러들이려 무진 애를 쓰고 있다. ‘신우익(뉴라이트)’의 맞상대를 만들려는 시도다. 뉴레프트라는 딱지가 싫다는 중도개혁주의자들에게 한사코 뉴레프트라고 이름 붙인... 2006-03-24 18:13
재단법인 희망제작소가 공식 출범한다.(관련기사 참조) 27일 오후 3시부터 한국언론재단회관에서 창립식을 연다. 김창국 ... 2006-03-24 18:10
언제부터인가 노동운동은 동네북이 됐다. 여기저기서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 혁신과 진보의 상징이었던 노동운동은 어느새 ... 2006-03-20 21:20
민주노총 정책실장, 정파갈등 비판 노동계 내부의 정파 구조가 노동운동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노동운동가들이 스스로 맹비판했다. 지난 3일 한겨레신문사 회의실에서 열린 선진대안포럼에서 김태현 민주노총 ... 2006-03-20 19:39
시민운동 1세대가의 주역들이 다시 뭉친다. 이번엔 구체적 행동이 아니라 진지한 소통이 목적이다. 시민사회포럼 ‘소통과 대안’이 오는 20일 창립총회를 연다. 현안분석과 대안모색을 위한 거대한 대화모임을 지... 2006-03-17 19:36
시민사회포럼 ‘소통과대안’의 출범은 여러 사람을 긴장시킬만 하다. 특히 2000년 총선연대 활동을 포함해 시민운동에 대해 좋... 2006-03-17 18:05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중국과 북한을 놓고 벌이는 한미간 흥정이다.” 17일 한미FTA저지 교수학술단체공동대책위원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나온 말이다. 흥정이라면 손익계산이 맞아야 한다. 실체는 어떨... 2006-03-17 17:48
본사 ‘선진포럼’…참여정부 첫 4자 공개토론 이상수 노동부 장관이 “장기투쟁(분규) 사업장 문제 해결에 깊은 관심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준호 민주노총 위원장이 대화를 위한 신뢰회복의 전제조건으로... 2006-03-14 19:39
진보개혁세력 내부에 ‘위기론’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실제를 부풀리는 일은 잘못이지만, 미래를 위한 냉철한 성찰은 언제나 힘이 된다. 올해로 다섯번째를 맞는 한국사회포럼이 2006년도 행사를 연다. 시민·... 2006-03-10 18:02
13일은 함석헌(1901-1989)이 태어난지 105주년이 되는 날이다. 일제와 독재의 시대를 꼿꼿하게 살아온 그의 사상과 실천의 자... 2006-03-10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