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1981년 이덕희 ‘US오픈 16강’…19년만에 이형택이 다시 밟아

등록 2018-01-24 18:45수정 2018-01-25 01:04

한국 테니스 ‘세계도전’ 개척자들…정현 활약 발판돼
이덕희 전 테니스 선수. 대한테니스협회 제공
이덕희 전 테니스 선수. 대한테니스협회 제공
“나이 들어 무슨 테니스 유학이냐, 시집이나 갈 것이지….”

1981년 이덕희(65)가 유에스(US)오픈 테니스대회 여자 단식 16강에 진출할 때만 해도 비인기종목인 테니스 선수들에 대한 주위의 편견은 엄청난 것이었다. 그러나 24일(한국시각) 호주오픈에서 정현의 한국인 첫 메이저 4강 달성도 ‘위대한 개척자’ 이덕희의 도전에서 시작됐다.

이덕희는 유에스오픈 16강에 진출한 첫 아시아 선수다. 앞서 19살 때인 1972년 호주오픈에서 안방 선수 팸 휘트크로스에게 이겨 메이저대회 한국인 첫 승리를 기록했다. 그는 긴 머리에 헤어밴드를 질끈 묶어 ‘집시선수’로 불리기도 했다. 이어 1974년 테헤란부터 통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3개를 차지한 뒤 세계 무대에 도전하기 위해 1979년 미국으로 테니스 유학을 떠났다. 이듬해 프랑스오픈에 출전하면서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세계 4대 메이저대회에 모두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고, 당시 개인 두번째 메이저대회 승리도 따냈다. 이덕희는 1982년 독일오픈에서는 당시 세계순위 1위였던 빌리 진 킹을 꺾고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는 한때 세계순위 34위까지 올랐고, 메이저대회 16강을 최고 성적으로 30살에 은퇴했다.

한국 선수 가운데 단식으로 두번째 메이저대회 16강에 진출한 이는 이형택(42)이다. 그는 이덕희 이후 무려 19년 만인 2000년 유에스오픈에서 16강에 올랐다. 이어 7년 뒤에도 같은 대회에서 두번째 16강에 올랐고, 세계 순위를 36위까지 끌어올렸다. 1990년대 한국 여자 테니스의 간판으로 활약했던 박성희(43)가 호주오픈 등 메이저대회에서 복식으로만 세 차례 16강에 진출한 적이 있다.

이밖에 국내에서 최고 선수로 군림했던 윤용일, 조윤정 등이 2000년대 초반 또다른 메이저대회인 윔블던대회 단식 경기에 잇따라 도전했지만 3회전을 넘긴 적이 없다. 정현은 호주오픈에서 한국 선수로는 역대 네번째 16강에 진입한 뒤, 곧바로 메이저대회 4강에 진출하면서 이들을 단숨에 뛰어넘었다. 아시아 선수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호주오픈에서 4강에 진출한 것은 1932년 일본의 사토 지로 이후 86년 만에 처음이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NBA 돈치치 떠나보낸 댈러스팬 ‘농구장 앞 장례식’ 1.

NBA 돈치치 떠나보낸 댈러스팬 ‘농구장 앞 장례식’

양민혁 2경기 연속 교체 출전…퀸즈파크 레인저스 2연패 탈출 2.

양민혁 2경기 연속 교체 출전…퀸즈파크 레인저스 2연패 탈출

투수 보호 위해 연장전 축소…근데 승부치기는 왜 외면할까 3.

투수 보호 위해 연장전 축소…근데 승부치기는 왜 외면할까

전지희, 신유빈과 대결 뒤 조촐한 은퇴식…“마지막 경기 특별했다” 4.

전지희, 신유빈과 대결 뒤 조촐한 은퇴식…“마지막 경기 특별했다”

13년 직장 포기 두 달 만에 챔피언 된 김태호 “당구 매일 치고 싶다” 5.

13년 직장 포기 두 달 만에 챔피언 된 김태호 “당구 매일 치고 싶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