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그룹의 비정규직 해고에 항의하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8일 서울 서초구 잠원동 뉴코아킴스클럽 1층 계산대에 밧줄을 쳐 경찰과 회사 쪽 직원들의 출입을 막으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차별시정 회피 대량해고’ 비정규직 갈등 고조
노조 이어 민주노총도 가세…‘불매운동’도 별러
경찰, 6명 검거나서…회사 “해고 없었다” 이랜드그룹의 비정규직원 해고에 항의해 8일 민주노총 조합원 등 4천여명이 전국 곳곳의 이랜드그룹 계열 할인매장에서 시위와 점거농성을 벌여 홈에버와 뉴코아 등 16곳의 영업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랜드그룹은 “불법 점거와 영업 방해를 용납할 수 없다”며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고, 경찰은 지난 6일 체포영장을 받은 김경욱 이랜드일반노조 위원장 등 노조 간부 6명의 검거에 나섰다. 이들을 포함한 이랜드 일반노조원 600여명이 9일째 농성 중인 홈에버 월드컵몰점에 경찰이 투입될 경우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있다. 민주노총 각 지역본부 간부·조합원 등 3천여명과 이랜드 일반노조원 1천여명은 이날 서울·경기·인천·울산·전남 지역의 홈에버(옛 까르푸)와 뉴코아 아울렛·킴스클럽 등 이랜드그룹의 할인매장 16곳을 상대로 점거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제품 진열대와 계산대를 노끈·쇼핑카트 등으로 막고 “비정규직 해고 철회”와 “계산업무 외주화 중단” 등을 요구하며 농성을 벌였다. 노조원들의 점거농성과 이를 우려한 이랜드 쪽의 영업 중단 조처로 이날 해당 매장 대부분 영업이 중단됐다.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뉴코아 강남점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해 “이랜드그룹의 비정규직 대량 해고 사태엔 850만명 비정규직의 문제가 그대로 응축돼 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밤 홈에버 월드컵몰점과 뉴코아 강남점을 제외한 곳은 농성을 풀었다. 민주노총은 9일부터는 이랜드그룹의 유통매장과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일 방침이다. 이번 사태는 비정규직법 시행을 계기로 이랜드그룹이 할인매장의 비정규직 계산원 750여명을 해고하거나 외주 용역업체로 넘기려 하면서 벌어졌다. 홈에버에선 근무기간이 2년이 안 된 계약직 사원 400명 이상이 계약기간이 끝나는 대로 해고됐고, 뉴코아의 경우 외주화를 거부한 계약직 사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를 두고 민주노총은, 비정규직법 시행에 따른 차별 시정을 피하려고 회사 쪽이 비정규직과의 근로계약을 해지하거나 해당 업무를 외주화로 돌리는 등 기업의 악용 실태가 압축적으로 드러난 대표적 사례로 규정했다. 그러나 이랜드그룹 최성호 이사는 “비정규직법 시행으로 고용 부담이 커진 기업 처지에서 경영 효율성을 고려해 각 계열사의 사정에 맞게 최선을 다해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합법적 조처’를 주장하는 사용자 쪽과 ‘해고 철회’ 등을 요구하는 노동자의 충돌이 격화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지난 5일 50대 대기업 인사·노무 담당 임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랜드그룹이 중요한 업무인 계산업무를 외주화하기로 한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고 말했지만, 현행법상 정부가 이를 제재할 마땅한 수단은 없다. 황보연 김소연 윤영미 기자 whynot@hani.co.kr
경찰, 6명 검거나서…회사 “해고 없었다” 이랜드그룹의 비정규직원 해고에 항의해 8일 민주노총 조합원 등 4천여명이 전국 곳곳의 이랜드그룹 계열 할인매장에서 시위와 점거농성을 벌여 홈에버와 뉴코아 등 16곳의 영업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랜드그룹은 “불법 점거와 영업 방해를 용납할 수 없다”며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고, 경찰은 지난 6일 체포영장을 받은 김경욱 이랜드일반노조 위원장 등 노조 간부 6명의 검거에 나섰다. 이들을 포함한 이랜드 일반노조원 600여명이 9일째 농성 중인 홈에버 월드컵몰점에 경찰이 투입될 경우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있다. 민주노총 각 지역본부 간부·조합원 등 3천여명과 이랜드 일반노조원 1천여명은 이날 서울·경기·인천·울산·전남 지역의 홈에버(옛 까르푸)와 뉴코아 아울렛·킴스클럽 등 이랜드그룹의 할인매장 16곳을 상대로 점거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제품 진열대와 계산대를 노끈·쇼핑카트 등으로 막고 “비정규직 해고 철회”와 “계산업무 외주화 중단” 등을 요구하며 농성을 벌였다. 노조원들의 점거농성과 이를 우려한 이랜드 쪽의 영업 중단 조처로 이날 해당 매장 대부분 영업이 중단됐다.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뉴코아 강남점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해 “이랜드그룹의 비정규직 대량 해고 사태엔 850만명 비정규직의 문제가 그대로 응축돼 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밤 홈에버 월드컵몰점과 뉴코아 강남점을 제외한 곳은 농성을 풀었다. 민주노총은 9일부터는 이랜드그룹의 유통매장과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일 방침이다. 이번 사태는 비정규직법 시행을 계기로 이랜드그룹이 할인매장의 비정규직 계산원 750여명을 해고하거나 외주 용역업체로 넘기려 하면서 벌어졌다. 홈에버에선 근무기간이 2년이 안 된 계약직 사원 400명 이상이 계약기간이 끝나는 대로 해고됐고, 뉴코아의 경우 외주화를 거부한 계약직 사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를 두고 민주노총은, 비정규직법 시행에 따른 차별 시정을 피하려고 회사 쪽이 비정규직과의 근로계약을 해지하거나 해당 업무를 외주화로 돌리는 등 기업의 악용 실태가 압축적으로 드러난 대표적 사례로 규정했다. 그러나 이랜드그룹 최성호 이사는 “비정규직법 시행으로 고용 부담이 커진 기업 처지에서 경영 효율성을 고려해 각 계열사의 사정에 맞게 최선을 다해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합법적 조처’를 주장하는 사용자 쪽과 ‘해고 철회’ 등을 요구하는 노동자의 충돌이 격화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지난 5일 50대 대기업 인사·노무 담당 임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랜드그룹이 중요한 업무인 계산업무를 외주화하기로 한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고 말했지만, 현행법상 정부가 이를 제재할 마땅한 수단은 없다. 황보연 김소연 윤영미 기자 whynot@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