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정동영 후보
“탈당 앞장선 것은 대단히 미안, 앙금털자”
청와대 즉답 피해…과연, 두사람 화해할까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후보가 16일 그동안 ‘차별화’ 논란을 빚었던 노무현 대통령과의 관계 복원 의사를 보이면서, 두 사람의 화해·협력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후보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 후보로 인해 상처받은 사람들을 잘 껴안고 가기 바란다’는 노 대통령의 전날 지적에 대해 “그렇게 실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는 이어 “열린우리당 의장을 두 번이나 지낸 사람이 탈당, 신당을 만드는 과정에 앞장선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지만 인간적으로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하며 “시간이 되면 (노 대통령을) 뵐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앙금을 털고 협력하자는 뜻으로 읽힌다. 그러나 청와대는 정 후보와 관계개선에 대한 즉답을 피하고 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열린우리당 해체 과정과 경선 과정에서 갈등과 상처가 많았고, 대통령 역시 마음의 상처를 받았다”며 “이런 상처가 치유된 뒤 (정 후보와) 화해나 면담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정 후보의 사과 발언에 대해서도 “앞으로 정 후보의 좀더 솔직한 입장이 개진되지 않겠냐. 좀더 보고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쉬운 사람이 먼저 분명하게 고개를 굽히라는 뜻으로 읽힌다. 청와대의 이런 태도엔, ‘정권 재창출을 위해 화해하자’는 정 후보의 최근 행태를 선뜻 수용할 수 없다는 노 대통령 판단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의 한 핵심 참모는 “노 대통령과 정 후보의 관계복원은 두 사람 사이의 사적 감정이 아닌 만큼 사과로 해결될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참모는 “노 대통령은 정 후보가 지난해 5·31 지방선거 패배 뒤 보수세력이 제기한 ‘참여정부 무능론’, ‘민주세력 집권, 잃어버린 10년’이라는 공세에 적당히 편승해 열린우리당 해체를 주장하고 차별화를 선택한 과오를 자기 성찰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그 과정에서 지지층에게 준 상처를 치유하지 않은 채 민주개혁세력의 지도자가 되겠다는 것은 원칙에도, 선거전략에도 맞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후보가 자신의 과오에 대해 진솔하게 밝히는 것이 화해의 대전제라는 것이다. 하지만, 정 후보로선 노 대통령 쪽의 이런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기가 어렵다. 친노 세력을 껴안아야 하지만, 그렇다고 노 대통령에게 ‘굴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참여정부의 계승자’를 자처할 수는 없다는 게 정 후보 쪽 생각이다. 정 후보 쪽의 한 인사는 “참여정부와 일정 정도 거리를 두지 않는다면, 한나라당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이 인사는 “기본은 노 대통령과 좋은 관계가 돼야 한다는 것”이라면서도 “상황이 좀 복잡하다”고 말했다. 신승근 이지은 기자 skshin@hani.co.kr ▶ 정동영, 첫번째 숙제는 ‘당내 화합’
▶ 정동영의 ‘대 이명박 전략’은?
▶ 정동영 ‘경선효과‘ 큰 기대 걸지만…
▶ 범여권 ‘후보단일화’ 놓고 미묘한 차이
청와대 즉답 피해…과연, 두사람 화해할까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후보가 16일 그동안 ‘차별화’ 논란을 빚었던 노무현 대통령과의 관계 복원 의사를 보이면서, 두 사람의 화해·협력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후보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 후보로 인해 상처받은 사람들을 잘 껴안고 가기 바란다’는 노 대통령의 전날 지적에 대해 “그렇게 실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는 이어 “열린우리당 의장을 두 번이나 지낸 사람이 탈당, 신당을 만드는 과정에 앞장선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지만 인간적으로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하며 “시간이 되면 (노 대통령을) 뵐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앙금을 털고 협력하자는 뜻으로 읽힌다. 그러나 청와대는 정 후보와 관계개선에 대한 즉답을 피하고 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열린우리당 해체 과정과 경선 과정에서 갈등과 상처가 많았고, 대통령 역시 마음의 상처를 받았다”며 “이런 상처가 치유된 뒤 (정 후보와) 화해나 면담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정 후보의 사과 발언에 대해서도 “앞으로 정 후보의 좀더 솔직한 입장이 개진되지 않겠냐. 좀더 보고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쉬운 사람이 먼저 분명하게 고개를 굽히라는 뜻으로 읽힌다. 청와대의 이런 태도엔, ‘정권 재창출을 위해 화해하자’는 정 후보의 최근 행태를 선뜻 수용할 수 없다는 노 대통령 판단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의 한 핵심 참모는 “노 대통령과 정 후보의 관계복원은 두 사람 사이의 사적 감정이 아닌 만큼 사과로 해결될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참모는 “노 대통령은 정 후보가 지난해 5·31 지방선거 패배 뒤 보수세력이 제기한 ‘참여정부 무능론’, ‘민주세력 집권, 잃어버린 10년’이라는 공세에 적당히 편승해 열린우리당 해체를 주장하고 차별화를 선택한 과오를 자기 성찰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그 과정에서 지지층에게 준 상처를 치유하지 않은 채 민주개혁세력의 지도자가 되겠다는 것은 원칙에도, 선거전략에도 맞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후보가 자신의 과오에 대해 진솔하게 밝히는 것이 화해의 대전제라는 것이다. 하지만, 정 후보로선 노 대통령 쪽의 이런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기가 어렵다. 친노 세력을 껴안아야 하지만, 그렇다고 노 대통령에게 ‘굴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참여정부의 계승자’를 자처할 수는 없다는 게 정 후보 쪽 생각이다. 정 후보 쪽의 한 인사는 “참여정부와 일정 정도 거리를 두지 않는다면, 한나라당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이 인사는 “기본은 노 대통령과 좋은 관계가 돼야 한다는 것”이라면서도 “상황이 좀 복잡하다”고 말했다. 신승근 이지은 기자 skshin@hani.co.kr ▶ 정동영, 첫번째 숙제는 ‘당내 화합’
▶ 정동영의 ‘대 이명박 전략’은?
▶ 정동영 ‘경선효과‘ 큰 기대 걸지만…
▶ 범여권 ‘후보단일화’ 놓고 미묘한 차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