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 본관 로비에서 기업인들과 ‘칵테일 타임’을 갖고 있다. 권오현 삼성 부회장, SK 최태원 회장, 롯데 신동빈 회장, GS 허창수 회장, 현대중공업 최길선 회장, KT 황창규 회장, 대한항공 조원태 사장, 대한상의 박용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의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은 일자리 중심, 소득주도, 공정경제, 혁신성장 등 새 정부의 경제 패러다임을 소개하며 기업들의 동참을 촉구했다. 이에 기업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나 상생협력을 위한 노력을 다짐하는 동시에 인력 양성 등 정부 지원도 요청했다.
최태원 에스케이(SK)그룹 회장은 평소 관심사인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을 건의했다. 그는 “여러 형태를 실험해보고 있는데 사회적 기업이 대표적인 예”라며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회적 기업 200개 지원을 통해 고용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며 정부도 공공조달 시장에 대한 사회적 기업의 접근을 확대해줄 것을 건의드린다”고 말했다. 또 최 회장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측정하고 평가에 포함시키는 시스템도 제안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관계 법안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해보라”고 당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의원 시절인 2014년 6월 ‘사회적 가치 기본법’을 발의하는 등 평소 사회적 기업에 관심이 많다. 이에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사회적 기업의 조달 시장 접근 확대는 이미 검토 중이고, 평가지표에 사회적 가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강구하겠다”고 답했다.
또 기업의 애로 사항인 ‘인력 양성’을 강조하는 기업도 많았다.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은 “반도체는 알아서 잘하겠지 생각하는데 현재 반도체도 인력 수급 문제에 크게 봉착해 있다”며 “반도체 산업 인력 수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이공계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했다.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은 “조종사와 정비사들이 부족하지만 항공산업의 국제적인 치열한 경쟁 속에서 노력하겠다”고 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올해 공채에서 다른 부문과 달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에선 채용 인원을 늘렸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 중국 업체들이 앞선 국내 업체의 기술을 배우기 위해 국내 엔지니어를 빼가려고 노력하는 등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항공산업도 중국 항공사는 물론 국내 저비용 항공사들의 성장으로 조종사나 정비사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황창규 케이티(KT)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4차 산업과 인력 양성에 대한 수요공급 미스매치를 해결하기 위해서 4차 산업 관련 교육센터를 대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지원할 것을 건의했다. 황 회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중견기업으로 키우겠다는 뜻도 밝혔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서비스 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마련을 제안했다. 신 회장은 “롯데가 40% 이상의 인력을 여성 인재로 채용하고 있고, 지난 10년 동안 (롯데가) 정규직을 가장 많이 늘렸다”고 밝히며 서비스·유통 분야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강조하며 육성 대책을 건의했다. 허창수 지에스(GS)그룹 회장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금을 많이 내도록 노력해왔고, 정부도 이런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길 건의한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 관계를 많이 만들어야 한국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데, 지에스의 경우 (편의점인) 지에스리테일 가맹점주의 최저수입 보장을 확대하려 한다”고 말했다.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최길선 현대중공업 회장은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최 회장은 “조선업의 위축으로 최근 사기가 많이 저하되어 있지만 가장 힘든 것은 조선산업이 사양산업이고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사회인식”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조선산업은 세계적 수준에 도달해 있고 포기할 수 없는 기술이 있고 자본 시설 집약산업이다. 조선업이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할 것이고, 인력 양성과 해양기자재 개발을 위해 정부 지원을 건의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경이면 조선산업이 나아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데 그때까지만이라도 공공발주를 통해 자체 수요를 늘리고, 중소업체의 경우 수주하더라도 금융지원이 있어야 효과가 있으므로 금융지원 확대 방안을 찾아보라”고 지시했다.
이완 김규남 기자
wani@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