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교육부는 오는 11일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열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12일 또는 13일 국정화 발표를 앞두고 당정이 ‘최종 협의’의 모양새를 갖추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국정화 발표 강행을 중단하라”고 강하게 반발하며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새누리당 역사...
새정치민주연합은 7일 정부와 여당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움직임을 ‘유신독재 시대로 되돌리려는 시도’로 규정하고 강력한 저지투쟁을 예고했다. 새정치연합은 역사과서 국정화 추진과 “국사학계의 90%가 좌익”이라는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의 극우적 발언이 동시에 나온 점을 주목하며 정부·여당이 다가...
국정 한국사 교과서를 도입하면 국내에서 역사 교육이 정치 도구화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대외적으로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하기도 어려워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교과서 국정제가 국익에도 반한다는 취지다.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는 7일 “한국이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면 검인정 제도...
새누리당이 한국사 검정 교과서들의 북한 관련 서술을 문제삼아 연일 ‘국정화 몰이’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교과서를 보면 북한 체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끌어내기 위한 기본적인 사실관계를 서술하는 내용이어서, 억지주장으로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무성 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중...
정부가 발표 ‘초읽기’에 들어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 배경엔 보수세력의 끈질기고 집요한 역사투쟁이 자리잡고 있다. 역사교과서 이념 투쟁은 12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4년 10월 노무현 정부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은 검인정 제도에서 만들어진 금성출판사의 <한국...
팔순도 훌쩍 넘긴 한 원로 역사학자의 발언이 9월18일치 <한겨레>(29면)에 크게 실렸다. 9월16일 ‘겨레얼살리기운동본부’라는 단체가 주최한 ‘식민사관 극복과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한 학술대회’에서 한 발언이다. 발언의 요지는 ‘친일사학자 이병도의 죄를 만천하에 고하고,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청와대와 정부·여당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굳힌 듯하다. 국정 역사교과서는 일부 독재국가에서나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유신독재 시절 도입했다가 2011년에야 겨우 없앤 과거의 잔재다. 이의 부활은 다시 정치·교육의 후진국 대열로 돌아가는 것이다. 역사교육에 정부 간섭을 최소화하고 단일한 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