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진심 따윈 필요없어

등록 2010-08-18 21:14수정 2010-08-18 21:44

esc를 누르며
esc를 누르며
[매거진 esc] esc를 누르며
고등학교 때 무시무시했던 학생주임 선생님의 별명이 ‘케이지비’(KGB)였습니다. 그 선생님은 학생들이 자기를 너무 무서워해 그런 별명을 붙인 줄 알고 대단히 만족하셨지만, 사실 학생들은 ‘옛소련의 비밀경찰’의 약자로서가 아니라 ‘콩자반’의 약자로 그 별명을 붙여준 것이었습니다. 그 선생님 얼굴에 콩알만한 입체적인 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때부터였습니다. 제가 제 얼굴에 콤플렉스를 가지게 된 게. 저 역시 입 옆에 입체적인 점이 떡하니 자리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1년 전인가 회사 남자 후배 앞에서 선언했습니다. “완벽한 여자가 되기 위해 이 점을 뽑겠다”고. 그러자 후배가 대꾸했습니다. “선배는 이미 완벽한 여자예요.” 그 말에 가슴이 벌렁벌렁 뛰더군요. 친구들은 ‘그 말을 진심으로 믿느냐’ ‘너에게 밥이라도 한끼 뜯어먹으려는 수작’이라고 비웃었지만, 진심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기분이 좋았습니다. 칭찬이 고래도 춤추게 한다면, ‘아부’는 병든 고래도 벌떡 일으켜세우는 것 같더군요.

언론계 선배 중에는 후배들의 ‘직언’이 너무 지겹고 싫다며 자기를 만날 때는 무조건 ‘간언’만 요구하는 선배가 있습니다. “직언은 들을 만큼 들었다. 충신은 겪을 만큼 겪어봤다. 나에게 필요한 건 간신과 간언이다!” 그래서 후배들은 그 선배를 만나면 “선배, 어떻게 그렇게 동안이십니까?” “선배가 이번에 쓰신 글도 한줄 한줄 밑줄을 그으며 읽었습니다”라는 손발이 오그라드는, 진심에도 없는 말을 남발하지만 선배는 “진심 따윈 필요 없다”며 대만족한다고 하네요. 저 역시 요즘엔 매일 “어쩌면 그렇게 미인이십니까?” “어떻게 쓰는 기사마다 모두 주옥과 같습니까?”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면 진심 따위야 뭐 그리 중요할까 싶습니다.

<일반적이지 않은 독자>라는 소설책이 있다고 합니다. 진심 없는 ‘아부’만으로 소통됐던 영국의 여왕이 갑자기 진심 어린 소통을 요구하자, 시종들이 당황하게 됐을 뿐 아니라 ‘이 인간이 노망이 들었나’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군요. 그 익살스런 이야기를 <여왕의 진심은 무엇일까>에서 만나보시죠.

김아리 〈esc〉 팀장 a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