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4389명의 친일 행적을 기록한 <친일인명사전>이 8일 공개되면서, 사전에 수록된 인물의 후손들이 명예훼손 소송을 내는 등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박정희 전 대통령 등의 친일 행적이 거론된 것과 관련해 보수단체들도 ‘정치적 모략’이라며 민족문제연구소를 공격했다.
‘위암 장지연 선생 기념사업회’는 그동안 “대부분의 기고문은 대필이나 강압에 의한 것”이라며 장지연의 사전 게재에 반발해 왔다고 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는 전했다. 장지연 기념사업회는 이날 민족문제연구소를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내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인물의 후손들도 ‘가시적 행동’에 나설 수 있다. 이날 사전이 정식으로 공개된 만큼 후손들은 민족문제연구소를 상대로 한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들은 그동안 “민족 언론 등을 살리기 위해 총독부의 원고를 그대로 읽었다”(김성수 전 부통령 쪽)거나 “생계유지와 징용을 피하기 위해 마지못해 친일 관련 글을 썼다”(소설가 김동인 후손)고 주장하면서 사전의 형평성을 문제 삼았다. 앞서 일부 후손들은 이제껏 사전 발행과 관련해 모두 4건의 가처분신청을 냈으나, 법원은 이를 모두 기각했다.
보수단체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보고대회가 열린 이날도 보수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민족문제연구소 해체” 등을 주장했다. ‘박정희 바로 알리기 국민모임’ 김동주 대표는 “전문성을 갖췄다고 보기 힘든 집단이 국론을 분열하려 내놓은 정파적인 모략”이라며 “앞으로 법적인 대응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