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건물 입구에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이 학교 1학년 교사를 추모하는 스티커와 조화가 놓여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자녀가 장래에 교사가 되겠다고 한다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답변한 성인의 비율이 8년 만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2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2 교육 여론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9월 만 19살 이상 75살 미만의 전국 성인남녀 4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해보니 자녀가 초·중·고교 교사가 되는 것에 56.4%(2254명)가 ‘긍정적으로 본다’라고 답했다. ‘부정적으로 본다’는 답변은 20.3%(811명),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23.4%(935명)이었다. 자녀가 있는 응답자만 놓고 보면 긍정적으로 본다는 비율은 61.6%(1460명)로 올랐다.
긍정적이라는 답변의 비율은 절반을 넘기긴 했으나 지난 2014년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서 한국교육개발원은 2012∼2014년, 2017년, 2019∼2022년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를 한 바 있는데, 2014년에는 54.3%가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이러한 답변 비율은 2017년 59.3%로 올라 2019∼2021년까지만 해도 60%대를 유지해왔다.
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침해 정도가 심각하다고 본 비율은 최근 4년 새 가장 높았다. 지난해 조사에서 ‘매우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은 16.6%(664명), ‘심각하다’는 답변은 38.1%(1524명)로, 절반 이상인 54.7%가 심각한 교육활동 침해가 이뤄지고 있다고 봤다. 2019∼2021년(44.5∼50.9%)보다 높은 수준이다. 다만, 초·중·고교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답변만 추려보면 심각한 편(‘매우 심각하다’+‘심각하다’)이라고 인식한 비율은 51.7%로 다소 낮아진다.
이러한 조사 내용은 교사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이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학부모의 민원 등에 무방비로 노출된 현실을 비추는 결과로 보인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그동안 정부는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사례는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다”며 “이번 조사 결과만 보더라도 교육활동 침해가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에 관계 법령을 제정해 교육활동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학교는 교육활동이 중심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법적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공간으로 전환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