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학생에 대한 시각 변화 필요해
전문가 도울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야
전문가 도울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야
서울·경기·광주 등 체벌이 금지된 지역에선 ‘교권이 무너진다’거나 ‘일부 학생을 체벌로 통제하지 못해 다른 학생들이 피해를 본다’고 불만을 제기하는 교사들이 있다. 하지만 조영선 서울 경인고 교사의 생각은 다르다.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센터 파견교사로 일하고 있는 조 교사가 보기에 체벌은 ‘문제아’가 겪고 있는 문제를 은폐하는 역할만 했을 뿐이다.
“문제학생을 체벌하면 일단 상황이 정리되는 것처럼 보이죠. 그래서 학생이 왜 문제행동을 하는지 원인을 밝힐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학생인권조례 시행으로 체벌이 금지되자, 문제학생을 때리는 대신 ‘성찰 교실’에서 상담 등을 벌이기 시작했어요. 그제야 빈곤·가정불화 등 학생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원인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대다수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잠을 자거나 떠드는 학생들을 수업권을 침해하는 ‘처벌의 대상’으로만 봤다. 그러나 조 교사는 이런 학생들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한다.
“고등학교에 올라오면 어려워진 교과 때문에 수업을 못 따라가는 학생들이 생깁니다. 이런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떠들거나 잠을 자죠. 이런 학생들을 체벌할 게 아니라, 따로 그에 맞는 수준의 보충수업 등을 받게 하거나, 상담으로 가정의 문제를 찾고 이를 해결할 기관과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떠드는 학생이 다른 학생의 수업권을 방해한다고 볼 게 아니라, 그 학생의 수업권부터 제대로 챙겨줘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문제학생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사회 전체의 안전망이 개선돼야 한다고 조 교사는 생각한다. “당장 그런 일이 힘들다면 우선은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학교 현장에서 직접 학생을 도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접근할 경우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체벌권의 강화가 아니라, 사회복지 서비스를 필요한 학생에게 연결해주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이다. 조 교사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자신의 문제를 드러내고 치유받게 된다면 교사의 영향력이 확장되는 폭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현 형사정책연구원 융합형법연구센터 부연구위원도 “학교에서 학교폭력 대응방법의 대부분을 이루는 체벌이나 징계는 문제행동을 단기적으로 억제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인 태도 변화까지 이끌어내지는 못한다”며 “피해자를 치유하려는 노력과 함께, 가해자도 학대나 괴롭힘을 당한 경험을 치유하려는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지훈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대선 ‘빨간불’, 안철수와 10%p 넘게 뒤져
■ 이은미 “왜곡된 역사 돌려놓는 자리에 함께 해 감사하죠”
■ 미 쇼트트랙 선수 “전재수 감독 지시로 상대팀 스케이트 훼손”
■ 싸이 공연 뒤 서울시 ‘완전히 새됐어’
■ 강금실 “박정희 넘어, 수평적 네트워크 세대 껴안을 리더십 필요”
■ “김근태 고문당할 때,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 [화보] 수험번호 1219, 문재인을 면접하라
■ 박근혜 대선 ‘빨간불’, 안철수와 10%p 넘게 뒤져
■ 이은미 “왜곡된 역사 돌려놓는 자리에 함께 해 감사하죠”
■ 미 쇼트트랙 선수 “전재수 감독 지시로 상대팀 스케이트 훼손”
■ 싸이 공연 뒤 서울시 ‘완전히 새됐어’
■ 강금실 “박정희 넘어, 수평적 네트워크 세대 껴안을 리더십 필요”
■ “김근태 고문당할 때,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 [화보] 수험번호 1219, 문재인을 면접하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