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회·정당

“투표율 70% 가능, 최종승자는 문재인”

등록 2012-12-07 20:43수정 2012-12-08 15:18

※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토요판] 커버스토리 대선정국 다섯가지 시나리오

▶ 제18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11일 남았습니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오차범위를 넘어 앞서기 시작하더니, 7일 안철수 전 후보가 문 후보 유세 지원에 나섬으로써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앞으로도 두 차례의 텔레비전 토론과 북한의 로켓 발사 그리고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의 행보 등 추가 변수도 있습니다. 정치평론가와 여론조사 전문가의 예측을 들어봤습니다. 박근혜 후보는 여세를 몰아 압승할까요? 안철수의 뒷바람을 탄 문재인이 극적인 역전승을 이룰까요?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
‘이러다 안 되는 것 아니냐’에서
‘이제 잘하면 되겠다’로 바뀌며
PK저지선 뚫고 호남표도 결집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이 완전히 붙었다. ‘붙었다’는 건 지지율이 거의 같을 때 쓰는 업계 용어다. 오차범위 안이라고 할 것도 없다. 거의 똑같아졌다. 지난 6일 안철수 전 후보의 지지선언 효과다. 이런 이벤트가 있을 때 실제 지지율 변동으로 연결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이번처럼 방송사들이 하루종일 떠들고 하면 반짝효과가 생긴다. 선거가 얼마 남지 않아 사람들이 국면을 예민하게 주시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안 전 후보 지지층 가운데 ‘안철수만 지지한다’는 사람들도, 안 전 후보가 동기만 잘 만들어주면 ‘문재인도 지지한다’로 대부분 돌아설 것으로 본다. 지난 5년 동안 ‘박근혜 대세론’에 동의하지 않고 박근혜 후보를 거부해온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안철수 지지’에서 ‘박근혜 지지’로 갈 사람은 이미 다들 갔다고 봐야 한다. ‘안철수의 문재인 지지’는 지지층을 결집하는 기계적·물리적 효과뿐만 아니라, 동시에 지지층의 마음을 움직이는 심리적 효과, 보이지 않는 효과도 있다.

물론 안 후보의 사퇴로 지지층, 특히 젊은 유권자들 사이에 ‘정치 불신’이 다시 심해졌을 것이다. 분명히 좋은 모습은 아니었다. 다시 나선 그에겐 이 불신을 어떻게 힐링(치유)할지의 과제가 남는다.

‘안철수 동력’으로 문 후보가 안정적 역전을 이룰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 안 전 후보의 지지선언은 지지율이 딱 붙도록 박빙까지 밀어올리는 데까지의 동력이다. 워낙 선거전이 밋밋해서 다른 변수가 없었던 탓에, 안 전 후보의 문 후보 지지 여부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가 됐다. 그러나 ‘안철수 효과’가 투표일까지 계속 이어지진 않는다. 한차례 조정기를 거칠 것으로 본다.

그렇기에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전 후보가 앞으로 어떻게 하는지가 더 중요해졌다. 단일화 자체만으로 승부를 보기엔 힘에 부칠 것이다. 박근혜 후보를 상대로 한 차별화된 전선을 만들어야 한다. 단, 네거티브는 안 된다. 네거티브 공세에 나서는 순간, 안철수 전 후보는 자기 자신을 부정하는 모순에 빠진다. 두 사람이 구체적인 그림을 나름대로 제시하면서, 그 메시지가 잘 살아야 한다.

현재 안 전 후보의 지지로 형성된 ‘반짝효과’ 속에서 야권이 차별화 모멘텀을 잡아낸다면 투표율도 70% 안팎까지 오르리라 본다. 투표율이 올라가면 야권에 유리하다는 게 통설이다. 세대별로 정치 성향이 다르고 투표율도 다른데, 전체 투표율이 올라간다는 건 노년층에서 오르는 게 아니라 20~30대 젊은층에서 오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젊은층은 야권 지지 성향이기 때문에 야권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안 전 후보의 지지에 힘입은 문 후보의 상승세는 수도권과 부산·경남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본다. 박근혜 후보 쪽은 전통적 표밭인 부산·경남(PK) 표를 다소 내주더라도 호남과 충청에서 만회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박 후보 쪽의 피케이 저지선인 35%가 무너지고, 문 후보가 목표치인 40%까지 득표하면 상황은 바뀐다. 호남에서도 ‘안철수 효과’ 덕에 야권 결집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이러다 안 되는 거 아니냐’ 하는 열패감이 있었지만, 이제 ‘잘하면 되겠다’는 심리가 생겼기 때문이다.

최종 승자는 결국 문재인 후보가 될 것으로 본다. 정권교체에 대한 열망이 원체 크다. 그밖에 다른 어떤 투표 동기에 견주더라도.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한겨레캐스트 #9] ‘박근혜 대통령’? ...“단일화 효과 아직 늦지 않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전직 HID 부대장 “노상원, 대북요원 ‘귀환 전 폭사’ 지시” 1.

전직 HID 부대장 “노상원, 대북요원 ‘귀환 전 폭사’ 지시”

무속인 비단 아씨 “노상원, 2023년부터 ‘나랏일’ 점괘 의뢰” 2.

무속인 비단 아씨 “노상원, 2023년부터 ‘나랏일’ 점괘 의뢰”

한동훈 복귀 ‘초읽기’…김종인·조갑제 이어 유인태까지 만나 3.

한동훈 복귀 ‘초읽기’…김종인·조갑제 이어 유인태까지 만나

“윤석열 사이코패스 같다”…추미애가 돌아본 송철호·황운하 기소 4.

“윤석열 사이코패스 같다”…추미애가 돌아본 송철호·황운하 기소

“쫄아서”…명태균이 본 ‘윤석열 계엄선포 이유’ 5.

“쫄아서”…명태균이 본 ‘윤석열 계엄선포 이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