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그 강에서 그 바다까지”

등록 2023-11-14 16:43수정 2023-11-15 02:40

팔레스타인인들은 1960년대부터 평화와 차별 없는 삶에 대한 열망을 모아 “그 강에서 그 바다까지, 팔레스타인은 자유로우리라”고 외쳐왔다. 여기서 그 강은 요르단강을, 그 바다는 지중해를 말한다. 그러니까 지금의 이스라엘과 요르단강 서안, 가자지구를 포함한 과거 팔레스타인 땅 전역을 가리킨 말이다.

이 구호는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래 살던 곳에서 쫓겨나고 차별과 박해를 받아온 팔레스타인 주민에 대한 연대와 지지의 뜻으로 쓰이며, 많은 경우 “그 강에서 그 바다까지”로 줄인 표현이 상징적으로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이 구호는 논란의 대상이다. 누가 어떤 의도로 외치느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열어놓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가자지구의 무장단체 하마스는 2017년 조직 규약에 “그 강에서 그 바다까지 팔레스타인의 완벽하고 완전한 해방 이외의 어떤 대안도 거부한다”며 이 구호를 끌어들이고 있다. 유대인 단체는 이런 용법에 주목해 이 구호에 “이스라엘과 유대인을 말살하겠다는 뜻이 담겼다”며 증오와 혐오의 언어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렇지만 많은 팔레스타인 활동가들은 “평화롭고 자유롭게 살고 싶은 팔레스타인인들의 염원이 담겼을 뿐 반유대 용어가 아니다”라고 반박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출신 미국인 작가 유세프 무네이여는 2021년 “이 표현에서 유대인 말살의 증오를 읽는 것은 그들 마음에 이슬람 혐오·증오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현실에서 ‘그 강에서 그 바다까지’를 폭력적으로 독차지하려는 혐의는 이스라엘 쪽이 더 짙다. 이스라엘은 유엔 등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요르단강 서안의 불법 정착촌 건설을 멈추지 않으며, 이곳을 이스라엘 영토로 기정사실화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리쿠드당은 애초 당헌에서 “그 강과 그 바다 사이에 이스라엘 국가만 존재할 것”이라고 밝힌 적도 있다.

미국과 유럽 사회는 늘 그렇듯 이번에도 일방적으로 이스라엘 편을 들고 있다. 미국 하원에서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출신인 러시다 털리브 의원이 ‘그 강에서 그 바다까지’ 발언이 나온 집회 영상을 소셜미디어에 공유했다가 ‘반유대주의’로 몰려 징계를 받았다. 영국에서도 앤디 맥도널드 노동당 의원이 집회에서 이 구절을 입에 올렸다는 이유로 당직 정직 처분을 받았고, 오스트리아 빈에선 집회 알림장에 이 구호가 들어 있다는 이유로 집회가 불허됐다.

박병수 국제부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파병 북한군, 능소능대와 허허실실을 구현하다 1.

파병 북한군, 능소능대와 허허실실을 구현하다

[사설] 트럼프 재선, 국익 위한 ‘유연한 외교’로 방향 전환해야 2.

[사설] 트럼프 재선, 국익 위한 ‘유연한 외교’로 방향 전환해야

자영업자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유레카] 3.

자영업자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유레카]

[사설] 교수들의 줄잇는 시국선언, 민심의 준엄한 경고다 4.

[사설] 교수들의 줄잇는 시국선언, 민심의 준엄한 경고다

대통령 거짓말에 놀라지 않는 나라가 됐다 [권태호 칼럼] 5.

대통령 거짓말에 놀라지 않는 나라가 됐다 [권태호 칼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