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7월 등장한 트위터는 스마트폰 시대와 맞물려 인류의 정보 이용 방식을 바꾼 소셜미디어다. 휴대전화 문자의 글자수 한도처럼 140자까지만 글을 쓸 수 있는 단문메시지 공유서비스로 출발했지만, 팔로·공유 기능을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강력한 실시간 정보유통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누구든지 마음만 먹으면 어떤 정보든 순식간에 전세계에 퍼뜨릴 수 있는 언론 발행인의 권력과 기능을 부여했다.
지진과 전쟁, 열차 탈선 뉴스도 항상 ‘1보’는 트위터로 알려졌다. 일본의 소프트뱅크 회장인 손정의는 2010년 트위터를 사용한 직후 “트위터에 궁금한 것을 올렸더니 순식간에 답이 돌아왔다”며 “우뇌와 좌뇌에 이어 외뇌를 얻은 느낌”이라고 경탄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하루에도 수십번 트위터에 글을 올리며 유권자와 여론을 직접 상대해온 ‘트위터 정치인’이다. 2021년 <워싱턴 포스트> 팩트체크팀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는 대통령 재임 4년 동안 2만5천건 넘는 트위트를 올렸고 총 3만여회 사실 아닌 주장을 쏟아냈다. 트위터는 트럼프가 트위터에서 ‘사기 대선’ 거짓 주장을 하며 지난해 1월 국회 의사당 폭력을 선동한 이유로, 그의 계정을 영구 정지하고 퇴출시켰다.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번복·재번복을 거치며 지난달 440억달러(약 62조원)에 트위터를 인수한 뒤 연일 파격 조처를 쏟아내고 있다. 머스크는 전직원의 절반(3700명)을 해고하고 남은 직원들에겐 ‘고강도 장시간 근무’와 ‘퇴사’ 중 택일을 요구했다. 머스크는 지난 18일 트위터에서 트럼프의 트위터 복귀에 대한 설문조사를 24시간 동안 진행한 뒤, 이튿날 “찬성이 51.8%”였다며 ‘영구 정지’된 트럼프의 계정을 부활시켰다.
시장의 의구심 속에 테슬라와 스페이스엑스(X)를 성공시킨 머스크가 트위터에서도 경영능력을 발휘할지 관심이다. 머스크의 독단에 반발해 트위터를 떠나겠다는 필수인력이 수백명에 이르고 광고주와 이용자 이탈도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머스크의 트위터’ 생존 여부보다 중요한 것은 강력한 정보 유통과 여론 형성 플랫폼이 재벌과 기술자의 손아귀에 놓이는 상황이다. 마이클 샌델이 말하듯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지켜져야 건강한 사회다.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