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쉬운 우리말 쓰기

UPDATE : 2023-11-28 02:30
박물관이 살아 있으려면 관람자와 전시물 사이에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져야 하겠지요. ‘출입금지’와 ‘입장불가’보다 더 친절한 표현은 없을까요? 어떻게 띄어 읽어야 할지 도통 알 수 없는 ‘금제사리내호’보다 더 알기 쉬운 말로 써주면 안 될까요? ‘언어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진정한 소통의 시작’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언어의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 무심히 쓰던 표현이 적절했는지 함께 고민해보면 어떨까요? 박물관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공익광고’도 비슷한 실정입니다. 오늘부터 16차례에 걸쳐 ‘쉬운 우리말 쓰기’를 이어가는 까닭입니다.
1 2 3 4

한겨레 많이 보는 기사

홍장원, 헌재 스크린에 메모 띄워…“윤석열 ‘싹 잡아들여’ 지시” [영상] 1.

홍장원, 헌재 스크린에 메모 띄워…“윤석열 ‘싹 잡아들여’ 지시” [영상]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2.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윤석열 “간첩 싹 잡아들이라 한 것” 누가 믿을까? [2월5일 뉴스뷰리핑] 3.

윤석열 “간첩 싹 잡아들이라 한 것” 누가 믿을까? [2월5일 뉴스뷰리핑]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소유할 것”…강제 이주 또 주장 4.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소유할 것”…강제 이주 또 주장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5.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한겨레와 친구하기

광고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