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국적 이주노동자가 한파 경보가 내려진 2020년 12월20일 경기 포천시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같은해 12월23일 오후 숨진 노동자가 일하던 비닐하우스와 숙소에서 포천 이주노동자상담센터 대표 김달성 평안교회 목사가 설명을 하고 있다. 이날 농장 대표는 기자들이 찾아오자 경찰을 불러 취재진의 접근을 막았다. 포천/이종근 선임기자 root2@hani.co.kr
지난달 20일 혹한의 추위 속에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잠을 자다 목숨을 잃은 캄보디아 출신 노동자는 간질환 증세가 심했는데도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이주노동자들이 의료서비스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양이원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고용노동청 의정부지청이 숨진 속헹씨의 동료 노동자들을 면담 조사한 결과 이미 1년 전에 간질환 증상(토혈)이 나타났지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했다. 속헹씨와 함께 방을 썼던 노동자 ㄱ(37)씨는 면담에서 “속헹이 1년 전쯤 함께 식사를 하다가 토할 때 피가 나오는 것을 본 적이 있다”며 “(숨지기 며칠 전) 어깨가 아프다고 파스를 붙여달라고 했고 사장님이 아프면 쉬라고 해서 하루 쉰 뒤 다시 일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 밖에 특별한 지병이나 약물 복용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속헹씨는 간이 손상된 상태에서 1년 가까이 농장일을 하다 귀국 20일을 앞두고 이국땅에서 목숨을 잃었다. 경찰은 최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소견을 토대로 사망 원인을 ‘간경화에 의한 혈관파열과 합병증’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주노동자 인권활동가들은 건강보험료를 꼬박꼬박 내고도 병원 진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이주노동자 보건의료체계의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주노동자 기숙사 산재 사망 대책위원회’가 이날 공개한 자료를 보면 속헹씨는 2019년 7월께 건강보험(지역가입)에 가입해 보험료를 납부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7월은 정부가 모든 외국인의 건강보험 가입을 의무화했던 시기다. 농촌의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했던 속헹씨는 2016년 3월에 입국해 건보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였다가 의무화가 되자 건보료를 냈다. 정부는 이주노동자에게 전년도 건강보험 전체 가입자의 평균보험료(11만3050원)를 의무가입 첫해에 내도록 했다. 속헹씨와 같은 이주노동자들은 대부분 최저임금을 받기 때문에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이었다. 2020년엔 건보료가 12만3080원으로 올랐다. 지난달까지 속헹씨는 200만원이 훌쩍 넘는 보험료를 내고도 병원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이주노동자들은 속헹씨처럼 적지 않은 건보료를 내고도 의료기관을 이용하기 힘든 환경에 처해 있다. 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공개한 ‘외국인 등 건강보험 재정수지 현황’을 보면 2015~2018년 4년 동안 외국인 가입자의 건보재정 수지는 9417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외국인이 건보료를 내고도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1조원에 가까운 돈이 남았다.
탄자니아 출신 이주민 ㄴ씨(38)는 “수입이 아예 없는 달에도 건보료를 내기 위해 음식을 사지 못할 때도 있다”며 “비싼 건보료를 내고 나면 돈(자기부담금)이 없어서 아파도 진료를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발주해 ‘이주민과 함께’가 최근 국내 거주 외국인 1060명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보고한 내용을 보면 응답자의 28.2%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이용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54.1%가 ‘비용이 부담돼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했다’고 답했고, ‘시간이 없어서’(37.4%), ‘의사소통이 어려워서’(27.9%), ‘어디에 가야 할지 몰라서’(17.7%), ‘교통편이 불편해서’(11.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김사강 연구위원은 “속헹씨와 같은 농촌 이주노동자의 의료 미충족률은 62%로 내국인(11.5%)의 다섯배가 넘는다. 주관적 건강인지율이 16.5%(내국인 44.9%)로 건강 상태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외국인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에 대한 부담을 낮춰주고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높여 건강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