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기획] ‘조작사건’ 책임자 사전 ① 재심 무죄 75건 해부
무죄로 뒤집힌 원심 판검사 505명 분석
무죄로 뒤집힌 원심 판검사 505명 분석
법원장 45, 대법원장·대법관 29…
강일원 헌재재판관 “기억안나”
양승태 대법원장 답변 거부
수사검사도 14명이 고위직으로
검사장 12, 총장 1명, 법무장관 1…
임내현 국민의당 의원 “죄송하다”
고영주 방문진 이사장 “기억안나” 이들 중 16명이 현직 법관·국회의원·공직자로 재직 중이다. 양승태 대법원장은 서울형사지법에 재직하던 1976년 ‘재일동포 유학생 김동휘 간첩 사건’의 합의부 1심 배석판사였다. 권순일 대법관도 서울형사지법에서 근무했던 1985년 ‘이준호 가족간첩 사건’ 1심 재판부에 배석판사로 판결에 참여했다. 이준호씨 가족은 당시 1심 법정에서 간첩죄 혐의를 부인하고 가혹행위를 폭로했다. <한겨레>가 양 대법원장과 권 대법관에게 당시 재판에 대해 물었으나 답하지 않았다. 양 대법원장은 이전에 긴급조치 위반 사건 재판부에 있었던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강일원 헌재 재판관은 1985~1986년 서울형사지법 제13부에서 4건의 조작간첩 사건을 판결했다. 강 재판관이 1심 배석판사로 담당한 사건은 ‘재일동포 유학생 윤정헌 간첩조작 의혹 사건’, ‘재일동포 조일지에 대한 간첩조작 의혹 사건’, ‘구명서 간첩조작 의혹 사건’, ‘홍종열·박희자·변두갑 간첩조작 의혹 사건’이다. 재심 무죄판결문을 보면, 구명서씨는 당시 1심 재판부에 ‘고문에 못 이겨 없는 사실을 있는 것처럼 꾸며서 이야기했다’는 탄원서를 보내기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강 재판관은 <한겨레> 기자와 만나 “판결 시점으로 보아 2건은 판사 임관 뒤 한 달 만에 판결한 것으로 주심이 아니었던 것 같고 다른 2건은 잘 기억나지 않는다”며 “최근 재심이 난 사실도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당시 판결문 등 확보
관련 판검사 명단 자체분석
전화·이메일로 의견 물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2005년 12월~2010년 12월31일 총 79건의 과거 공안·간첩조작 의혹 사건 판결에 대해 재심을 권고했고 이 중 올해 1월까지 75건이 재심 무죄 확정판결을 받았다. <한겨레>는 잘못된 수사·재판을 맡았던 판검사 등 책임자들의 실체가 제대로 밝혀진 바 없다는 데 주목했다. ‘4·9통일평화재단’과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로부터 과거사 사건 75건의 원심 판결문 224건, 진실화해위 결정문, 재심 판결문을 확보해 판검사 명단을 자체 분석했다. 근무연도 등을 대조해 본인 여부를 일일이 확인했다. 검사 127명 중 연락처가 확보된 80여명과 전직 대법관 등 주요 인물 다수를 전화나 전자우편으로 접촉해 재심 무죄판결에 대해 의견을 물었다. <한겨레>는 ‘법원조직법’이 정한 합의부 재판의 취지에 따라, 재판장은 물론 2명의 배석 판사 모두 일정한 책임이 있다고 판단해 실명을 보도하기로 했다. 수사관 등 사법경찰관리는 이력 추적이 안 돼, 훈포상 대상자만 추적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