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문제 활동가들이 지난 12일 서울 마포구 양화로 ‘미디어카페 후’에 모여,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이달 초 실시한 ‘청년의식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2015 청년으로 산다는 것] ‘청년 문제’ 전문가 좌담회
“일자리 당장 늘겠나? 길어진 구직기간 버틸수 있게 정책 마련을”
“일자리 당장 늘겠나? 길어진 구직기간 버틸수 있게 정책 마련을”
참석자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전임연구위원
신윤정 서울청년허브 기획실장
임경지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정준영 청년유니온 정책국장
조성주 정치발전소 공동대표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사회)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전임연구위원
신윤정 서울청년허브 기획실장
임경지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정준영 청년유니온 정책국장
조성주 정치발전소 공동대표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사회)
기회는 평등하단 말 공감 못해” “청년고용 위해 임금피크제 도입?
정부는 청년을 이용하지 말라” # 취업이 전부는 아니다 정준영 일자리뿐 아니라 연애와 결혼, 주거비, 빚에 대한 청년들의 부담도 상당하다. 대학을 졸업했는데 일자리는 없고, 월세는 내야 하고 이때 빚이 생긴다. 일자리 창출만으로는 안 된다. 일자리와 주거, 부채 등 청년이 현실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소득이 없는 기간을 버틸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유럽의 ‘청년 수당’처럼, 한국에서도 성남시에서 ‘청년 배당’을 지급하겠다고 한다. ‘일자리 안전망’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청년정책을 논의해야 한다. 임경지 20대 초반에 교육과 일자리 때문에 대거 서울로 들어왔다가 20대 중·후반엔 서울 밖으로 나온다. 높은 집값 때문에 밀려나는 것이다. 20대 후반 청년들이 주거정책의 타깃이 되어야 하는데 정책 대상에서 배제되어 있다. 우리 사회에서 청년은 여전히 주거 복지의 대상이 아니다. 공공임대주택의 가산점 기준은 4인 가족, 해당 지역 연고자, 산업단지 근로자 등이다. 일자리나 교육을 위해서 상경하고 독립한 20대들과는 무관한 것들이다. 신윤정 정치권과 정부에서 ‘청년 문제는 무엇이다’라고 정의해 본 역사가 없다. 누가 청년인지, 무엇이 청년 문제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없이 지난 10년 동안 청년정책은 강박적으로 ‘일자리 창출’에만 매달렸다. 모든 청년 문제 해결을 일자리 창출로 욱여넣었다. 20만개든 40만개든 일자리를 빠르게 창출할 수 없다는 것부터 겸손하게 인정해야 한다. 청년 문제의 핵심은 고교나 대학을 졸업한 뒤 일자리를 찾는 시간이 점점 장기화하면서 주거·부채 등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는 데 있다. 일자리를 얻기 전까지 긴 시간을 버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이 도입돼야 한다. # ‘헬조선’ 바꿀 수 있다 임경지 청년을 가장 잘 이해할 것 같은 정치인을 물었더니 ‘모르겠다’가 가장 많다. 청년 세대는 사회적 불평등, 불공정을 자신의 삶에서 뼈저리게 느끼고 있지만, 어떤 정치세력이 그 고통을 대변하는지 모르고 있는 거다. 신윤정 청년들이 한국 사회를 ‘헬조선’(한국 사회를 지옥 같다고 표현한 신조어)으로 일컬을 정도로 극심한 저항감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청년 관련 조사를 잘 들여다보면 물질주의보다 탈물질주의, 성장보다 분배,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보호, 집단보다 개인 존중 등 청년이 지향하는 미래 가치가 분명히 있다. 미래 사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청년 문제를 확장해야 한다. 서복경 청년 문제의 보편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청년 문제는 다른 계층·집단·세대가 겪는 공통의 문제를 반영하는 한국 사회의 리트머스 시험지다. 청년 문제 해결을 세대 연대로 확장하는 게 중요하다. 청년 일자리 창출을 내세운 노동시장 개혁에 ‘일베’처럼 극단적인 청년들이 나서서 기성세대를 공격하는 구도가 나타날까 걱정이다. 청년들이 먼저 세대 연대의 방식을 기획해야 한다. 정준영 ‘최저임금은 청년임금’이라는 슬로건이 있다. ‘청년’의 자리에는 경제적 불평등에 의해 삶의 기본권을 침해당하는 다른 사회적 약자들의 이름이 들어갈 수 있다. 청년이니까 도와주자, 미래를 위해 청년에 투자하자는 ‘청년 프레임’으로는 불평등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 청년의 권리를 보장해야 모든 사회적 약자들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다는 보편적 권리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정부의 노동개혁 과정에서 세대 연대가 가능하려면 양대 노총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 예컨대, 미취업 청년들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려면, 보험료를 납부하는 노동자들이 먼저 나서야 돌파구가 열릴 수 있다. 정리 진명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 tora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