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때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 미디어 접촉이 이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고민은 우리 세대가 인류 역사상 처음 겪는 문제다. 축적된 연구나 타당성이 입증된 조사방법이 없다. 그만큼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경고문구 도입을 비롯한 정부와 제조업체 등의 책임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국은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기술수용적 사회문화 특성상, 이 문제에 관한 세계적 ‘임상실험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스마트폰 보급률은 67.6%로 세계 1위다.
그만큼 가정에서 영유아에게 스마트폰을 쥐여주는 시기도 이르다. 육아정책연구소의 지난 4월 조사를 보면 영아(0~2살)의 최초 스마트폰 사용 시기는 평균 0.84살로 유아(3~5살)의 2.86살에 비해 크게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산에 발맞춰 아기들도 일찌감치 스마트 기기를 접하고 있는 셈이다.
초대 청소년보호위원장을 지낸 강지원 변호사는 이 문제에 대해 제조업체의 책임을 강하게 주장한다. 강 변호사는 “제품이 나오면 만든 사람이 사용설명서를 첨부하는 것이 당연하다. 스마트폰 역시 ‘0~3살 아이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등 주의 문구를 넣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19살 이상 관람가’ 등 연령 구분이 있는 것처럼 스마트 미디어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일괄규제보다 사용자와 공급자의 자율적 선택을 유도하는 방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한덕현 중앙대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일괄제한보다 부모가 책임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자가 데이터나 시간 제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통신 상품을 다양하게 만들고 알리는 방법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