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주69시간’ 잘 들어…한국인은 ‘37시간’ 근무 원해

등록 2023-03-16 16:53수정 2023-03-19 15:45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52시간 초과 노동자 희망도 주 44.2시간
2021년 한 해 동안 소진 못 한 연차 약 5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난 6일 정부가 내놓은 주당 최대 69시간(주 7일 근무 땐 80.5시간)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에 대한 반발이 거센 가운데, 노동자들이 희망하는 노동시간은 주당 약 37시간으로 나타났다. 또 한 해 동안 법적으로 보장된 연차휴가 중 5일 가량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지난해 전국 19~59살 2만2천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한 연구보고서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를 펴냈다. 설문 시점 기준, 일주일 동안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일시 휴직 포함) 1만7510명이 실제 일한 시간은 주당 평균 약 41시간이었다. 그러나 생활비를 벌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희망하는 노동시간은 주당 36.7시간으로 실제 일하는 시간에 견줘 4시간 짧았다. 주당 52시간을 초과해 일하는 집단의 희망 노동시간은 주당 44.2시간이었다. 장시간 일할수록 희망 노동시간과 현실 노동시간 간 간극은 더 큰 셈이다.

노동자들은 여전히 법으로 보장된 연차휴가마저 충분히 쓰지 못하는 실정이다. 2021년 한 해 동안 이동 없이 한 직장을 다닌 노동자들이 부여받은 연차휴가는 평균 17.0일이었다. 그러나 실제 사용한 휴가는 평균 11.6일에 그쳐 5일 가량 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차를 다 쓰지 못한 이유로는 ‘연차수당으로 받기 위해’(응답자 20.1%)가 가장 많이 꼽혔고, ‘대체 인력이 부족해서’ (18.3%), ‘업무량 과다’(17.6%), ‘특별한 휴가계획이 없어서’ (14.6%), ‘상사 눈치가 보여서’ (11.4%) 등이었다.

보사연 연구진은 “적절한 근로(노동)시간과 휴게시간 보장이 기본적으로 이뤄져 과도한 시간 동안 일하거나 감당할 수 없는 양의 일로 균형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실제로 일을 많이 하는 집단에 대한 관리와 보호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170만원 떼임…서러운 과일 도매 ‘1000원 떼기’ 장사 [.txt] 1.

170만원 떼임…서러운 과일 도매 ‘1000원 떼기’ 장사 [.txt]

“그냥 정우성 ‘아들’이다…‘혼외자’는 아이 아닌 부모 중심적 언어” 2.

“그냥 정우성 ‘아들’이다…‘혼외자’는 아이 아닌 부모 중심적 언어”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3.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여야의정협의체 3주 만에 좌초…의료계 “참여 중단” 4.

여야의정협의체 3주 만에 좌초…의료계 “참여 중단”

소속 없이 모인 청년들 ‘윤퇴청 시국선언’ 2000자 울림 5.

소속 없이 모인 청년들 ‘윤퇴청 시국선언’ 2000자 울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