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속 오염물질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는 식물을 집안에 널리 기른다. 같은 방식으로 담배 연기에 들어 있는 니코틴을 식물... 2015-04-14 20:08
동물세계에서 동족을 먹는 행동은 드물지 않다. 짝짓기를 마친 사마귀나 거미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것은 널리 알려진 예다... 2015-03-31 20:00
바닥에 모래와 돌이 깔린 맑은 여울에 사는 쉬리라는 아름다운 물고기가 있다. 세계에서 한반도에 1속 1종만 있는 고유종인데다 등에서 배 쪽으로 흑남색, 황남색, 갈색, 황색, 짙은 갈색, 은색 띠가 색동 줄무늬... 2015-03-24 19:49
1980년대 중반 스웨덴에서 연수차 반년 동안 머문 일이 있다. 당시 스칸디나비아의 최대 현안은 산성비였다. 검은 침엽수림 ... 2015-03-18 18:59
팔당댐 인근에 겨울마다 어린 참수리가 출몰한 지는 10년쯤 됐다. 그런데 다 자란 참수리 2마리와 어린 참수리 1마리가 왔다는 소식이 들렸다. 참수리가 야생에서 먹이 사냥을 하는 모습을 포착하겠다고 마음먹었... 2015-03-17 20:12
공룡시대인 쥐라기에는 거대한 도롱뇽이 살았다. 화석으로 남아 있는 이 거대 도롱뇽의 후손 3종 가운데 중국장수도롱뇽은 가... 2015-03-17 20:06
유전자를 후손에게 가장 많이 퍼뜨리는 것이 진화의 냉혹한 논리라면, 이것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동물이 있다. 사람, 범고래,... 2015-03-10 20:20
우리가 사는 곳은 세균의 세계다. 흙 1g에는 4000만마리, 담수 1㎖에는 100만마리의 세균이 산다. 지구의 세균을 다 합치면 모든 동물과 식물을 더한 것보다 무겁다. 그러니 좋은 세균과 힘을 합쳐 나쁜 세균을 ... 2015-02-24 20:11
나방을 노리는 포식자는 박쥐, 올빼미, 고양이 등 많다. 이를 피하기 위한 가장 흔한 전략은 날개에 눈 모양의 반점을 만들어... 2015-02-17 20:42
남아메리카에는 납작한 코에 나뭇가지를 쥘 수 있는 긴 꼬리를 지닌 타마린, 거미원숭이, 코주부원숭이 등 독특한 신세계원숭이가 산다. 그런데 화석 기록은 약 2600만년 전에서 딱 그쳐 버리고 만다. 신세계원숭... 2015-02-10 20:01
지구에는 지난 250만년 동안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대로 찾아왔다. 수만년의 시간대에 걸쳐 생물은 달라진 기후와 지형에 따라... 2015-02-03 19:59
한반도의 멧돼지는 어디서 왔을까. 대도시에도 종종 출현하는 흔한 동물이지만 멧돼지의 기원을 둘러싼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았다. 아시아와 유럽에 널리 분포하는 멧돼지의 고향은 동남아 섬이다. 여기서 퍼져나... 2015-01-27 19:45
연초부터 서울 중랑천에서 철새 수백마리가 떼죽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낙동강과 금강에선 2012년과 지난해 물고기 떼죽음... 2015-01-13 20:04
개나 고양이가 아닌 야생동물도 장난을 좋아한다. 무슨 보상이 따르는 행동이 아니라 그 자체를 즐기는 것이다. 비탈에서 눈... 2014-12-30 19:58
애벌레는 새에게 영양가 풍부하고 먹기 좋은 먹이다. 새를 피하려고 일부 애벌레는 화려한 색깔로 오히려 눈에 띄는 전략을 ... 2014-12-23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