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6 폐막일이었던 지난 11월13일 토요일, 행사장 메인회의장에서 참가자들이 포옹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는 지난달 끝났지만 기후위기 대응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외교부는 총회가 끝난 뒤 197개국 당사국이 최종 확정한 영문 선언문을 토대로 각 부처가 내년에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정리를 마쳤다. 인류의 기후변화 대응 역사의 한 페이지를 남긴 COP26의 선언문을 통해 내년도 기후변화 대응 흐름을 짚어보니, 선진국의 개발도상국 지원과 탈화석연료 속도내기가 주요 과제로 꼽힌다.
이번 선언문(Glasgow Climate Fact)은 총 8개 주제 71개 항목으로 구분돼있다.
외교전문가들은 이중 2번째 주제로 적응(Adaptation)이 포함된 것을 이번 글래스고 총회에서의 특징으로 추렸다. 1번째는 ‘과학과 긴급성(Science and urgency)’이며 3번째부터 ‘적응 재정(Adaptation finance)’, ‘완화(Mitigation)’ 등이 나열돼있다. 순서상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는 완화 과제보다 적응 과제를 앞세운 것이다.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 대사는 “과학에 대해서는 더이상 의심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먼저 나온다. 객관적인 것을 고정해둔 뒤 적응을 이야기한다. 적응을 위한 돈을 이야기한 것은 개발도상국, 최빈국 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재정 문제가 본격화됐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3장인 적응 재정은 “개발도상국에서 악화되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응하기에 불충분한 상태”임을 못 박고 “개도국 지원을 위한 재정자원 기술이전, 역량 강화를 권장”한다며 선진국의 책임과 의무를 특히 강조했다. 선진국들이 조성하기로 한 기후변화대응기금 1000억달러는 이번 COP26에서도 채우지 못했지만, 2025년까지 이를 다 채우기로 했다.
‘완화’ 부문에서도 변화가 감지됐다. 20번 조항을 통해 석탄의 감축을 명문화한 것은 역사적이라는 평가다. 중국과 인도의 요구로 “단계적 퇴출”이 아닌 “단계적 감축”으로 문구가 조정되어 기후운동가들로부터는 비판을 받았지만, 산업혁명을 이끈 석탄이라는 에너지원에 대한 미래 방향을 결정한 선언이라는 점에서 유의미했다는 평가다. 특히 화석연료 보조금을 아울러 ‘단계적 철폐’를 강조했는데, 실제 석탄뿐 아니라 석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국내외 금융·투자사들의 거리두기가 시작될지도 주목할 지점이다.
이밖에 2030년까지 앞으로의 10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2010년 수준과 비교해 전세계적으로 45%의 이산화탄소 감소가 필요하다는, 현재까지의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과학자들이 제시한 숙제를 명시해두었다.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한국의 경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개도국 지원 노력과 탈석탄화력발전 속도를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풀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27차 COP는 이집트에서, 2023년 28차 COP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