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의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총리가 22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연합(EU) 회원국 정상회의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브뤼셀/EPA 연합뉴스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석탄을 줄이고 청정전력으로 전환한다는 서명에 세계 40여개 국가가 동참했지만 일부 국가들은 서명 내용을 부인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구속력 없는 서명이기는 하지만 세계를 상대로 한 ‘유체이탈’식 화법에 국제환경단체의 조롱까지 사고 있다. 그중 한국과 폴란드 정부가 있다. COP26의 성과를 끌어올리기 위한 영국은 COP26이 끝나기 전까지 이를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유럽 기반의 미디어 <유락티브>(Euractive)는 지난 5일 “폴란드 정부가 석탄발전을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선언에 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2049년까지 석탄발전을 유지할 의향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은 “폴란드는 석탄을 퇴출하기로 한 40여개국 선언에 서명한 지 몇 시간 만에 `폴란드는 (2030년대 석탄을 중단하기로 한 주요 경제국이 아닌) 두 번째 범주인 나머지 국가에 있다’고 말했다”라며 폴란드가 유엔과 영국 정부의 기대와 달리 2040년대 들어 석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 폴란드가 국내 노조와 합의한 내용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앞선 4일 COP26의 최대 이벤트 중 하나로 꼽혔던 세계 40여개 국가의 `석탄을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성명’이 공개됐다. 이 성명에 따르면 주요 경제국은 2030년대, 나머지 국가들은 2040년대에 석탄발전을 중단하겠단 목표를 세웠다. 다만 시점을 못 박으면서도 “그렇지 않다면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라는 ‘출구’를 남겨놓아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 이 때문에 서명에 동참한 여러 나라들이 국내에서 성명의 본질과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한국과 폴란드는 2030년대 석탄 중단을 약속한 적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COP의 주요 슬로건인 ‘석탄을 역사속으로’도 다소 빛이 바래고 있다. 영국 정부가 더 많은 국가들의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문구를 조정해 목표를 낮춘 데다 구속력 없는 선언의 한계상 말잔치에 그쳤다는 비판도 나온다. 국제환경단체 캔(CAN·Climate Action Network-International)은 최근 폴란드 정부가 석탄을 중단한다는 공약에 대해 정확히 진실을 말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비판과 조롱의 의미를 담은 ‘오늘의 화석상(Fossil of the day)’을 수여하기도 했다. 폴란드 역시 한국처럼 석탄발전 등 화석연료로 인한 발전 비중이 지난해 말 기준 70%를 넘을 만큼 석탄발전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가이다. ‘2040년 에너지 전략’을 보면 2030년 37~56% 수준, 2040년에는 11~28%로 감소시킨다는 계획이다. 현재 석탄 비중이 40% 전후에 이르는 한국은 2030년까지 21%로 줄인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글래스고/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