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이전 취소,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 전환, 삼성·한화·웅진·롯데 유치
고대·KAIST 유치…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중이온가속기 설치
여-대대적 여론전, 야·친박-원안 고수…정국긴장 고조될 듯
고대·KAIST 유치…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중이온가속기 설치
여-대대적 여론전, 야·친박-원안 고수…정국긴장 고조될 듯
정부가 11일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는 수정안을 발표했다. 대신, 정부는 세종시 개념을 행정중심 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전환해 삼성, 한화, 롯데, 웅진 등 대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로써 지난 2002년 9월 당시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신행정수도 건설’ 대선공약에서 시작된 세종시는 여야의 치열한 논란 끝에 2005년 3월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개념이 다소 바뀌었다가 이번 수정안 발표를 계기로 다시 기로에 서는 운명을 맞게 됐다.
세종시 수정 문제는 그 향배에 따라 이 대통령의 향후 국정운영 동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이 때문에 이명박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주 특별 기자회견을 하는 것을 비롯해 충청권 방문과 박 전 대표 면담 등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정 총리와 한나라당 지도부와 친이계(친 이명박계)도 적극적인 여론전과 친박계 설득에 나설 예정이다.
그러나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이 세종시 수정에 반대하고 있는데다 한나라당 안에서도 박근혜 전 대표 등 친박(친 박근혜계) 의원들이 ‘원안 고수’를 주장하고 있어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처리 과정에서 여야는 물론, 여-여간에도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정안만 놓고 보면, 대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무리한 특혜를 주고 있고, 실현 가능성이 의심되는 장밋빛 계획을 잡탕처럼 모아놓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른 도시들도 역차별이라며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총리가 이날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발표한 ‘세종시 발전방안’을 보면, 애초 2030년이었던 완공시기를 2020년까지로 10년 앞당기고 일자리 25만개와 인구 50만명, 자족용지 비율 20.7%, 신재생 에너지 사용량 15% 등의 자족 녹색도시로 만들어 중부권 첨단 내륙벨트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정 총리는 “과거의 약속에 조금이라도 정치적 복선이 내재돼 있다면 뒤늦게나마 그것을 바로잡는 것이 나라를 생각하는 지도자의 용기 있는 결단 아니겠느냐. 세종시 건설은 정치적 신의 문제 이전에 막중한 국가 대사”라고 주장했다.
기업 유치 부문에서는 국내외 5개 기업이 신재생에너지, LED(발광다이오드), 탄소저감기술 등 녹색산업 분야에 4조5150억원을 투자해 2만2994명을 고용하는 것으로 일단 확정됐다. 먼저 삼성은 165만㎡ 부지에 2조500억원을 투자해 1만5800명을 고용할 계획이며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LED 등 5개 계열사에 걸쳐 태양광발전, 연료용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데이터프로세싱, 콜센터, 바이오헬스케어 등의 분야에 진출할 예정이다. 한화(60만㎡, 3천44명, 1조3270억원, 에너지분야), 웅진(66만㎡, 2천650명, 9천명, 웅진케미컬·에너지 통합연구센터), 롯데(6만6천㎡, 1천명, 1천억원, 롯데식품연구소), SSF(오스트리아 태양광제품 업체, 16만5천㎡, 500명, 1천380억원)도 입주계획을 밝혔다. 또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지정해 인근 대덕, 오송, 오창 등과 연계된 연구거점 330만㎡를 조성하고, 내년부터 2015년까지 3조5천억원을 들여 세종국제과학원을 설립해 그 산하에 중이온가속기, 기초과학연구원, 융복합연구센터, 국제과학대학원을 갖추기로 했다.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에는 내년부터 20년간 총 17조원이 투자되며 이에 따른 고용효과는 20년간 연평균 10만6천명, 생산효과는 11조8천억원, 부가가치효과는 5조1천억원이라고 정부 쪽은 주장했다. 대학의 경우 고려대와 카이스트가 각각 100만㎡ 부지에 612억원과 7700억원을 투자해 대학원과 연구기능 위주의 대학을 운영하기로 했다. 고교의 경우에는 세종시 입주기업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자율형 사립고 한 곳을 2012년 이전에 설치하고 ‘자율형+기숙형’ 공립고를 최소한 한 곳, 외고와 과학고, 예술고, 외국인학교 또는 국제고를 각각 한 곳씩 개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제적·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해외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글로벌투자유치 지구를 조성하고, 교육·과학관련 국제기구와 다국적 기업 아시아본부 등을 유치하는 등 ‘리틀(little) 제네바’로 육성하기 위해 국제교류 지구를 조성하기로 했다. 문서와 계약서 등을 한글과 영문으로 병기하는 영어공용화지구로 지정하고 외국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외국인이 살고 싶어하는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투자유치를 위해 부지 50만㎡ 이상 수요자에게는 미개발상태의 원형지를 공급하되 개발비용을 제외해 인근 오송 등 산업단지의 절반 수준인 3.3㎡당 36만~40만원에 제공하고, 신규투자 기업에 대해서는 소득·법인세 3년간 100% 감면하는 등 기업도시 수준의 세제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혁신도시에도 동일한 세제지원을 하기로 했다. 우수한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해 국내 최초의 도시형 국립수목원을 갖춘 중앙공원(280만7천㎡)과 아트센터, 국립도서관, 도시건축박물관,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의 가칭 천연약재박물관 등 문화시설의 건립도 추진된다. 이밖에 애초 2017년 완성예정이던 광역교통망은 2015년까지, 2030년까지 끝낼 계획이던 도시교통은 2015년까지 모두 마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주 입주 예정 기업·대학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달 중순 국토연구원과 행정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주관으로 공청회를 실시하는 등 다각적으로 여론을 수렴한 뒤 오는 4월 국회에 행정도시특별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제출해 통과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용인기자 yyi@hani.co.kr
기업 유치 부문에서는 국내외 5개 기업이 신재생에너지, LED(발광다이오드), 탄소저감기술 등 녹색산업 분야에 4조5150억원을 투자해 2만2994명을 고용하는 것으로 일단 확정됐다. 먼저 삼성은 165만㎡ 부지에 2조500억원을 투자해 1만5800명을 고용할 계획이며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LED 등 5개 계열사에 걸쳐 태양광발전, 연료용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데이터프로세싱, 콜센터, 바이오헬스케어 등의 분야에 진출할 예정이다. 한화(60만㎡, 3천44명, 1조3270억원, 에너지분야), 웅진(66만㎡, 2천650명, 9천명, 웅진케미컬·에너지 통합연구센터), 롯데(6만6천㎡, 1천명, 1천억원, 롯데식품연구소), SSF(오스트리아 태양광제품 업체, 16만5천㎡, 500명, 1천380억원)도 입주계획을 밝혔다. 또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지정해 인근 대덕, 오송, 오창 등과 연계된 연구거점 330만㎡를 조성하고, 내년부터 2015년까지 3조5천억원을 들여 세종국제과학원을 설립해 그 산하에 중이온가속기, 기초과학연구원, 융복합연구센터, 국제과학대학원을 갖추기로 했다.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에는 내년부터 20년간 총 17조원이 투자되며 이에 따른 고용효과는 20년간 연평균 10만6천명, 생산효과는 11조8천억원, 부가가치효과는 5조1천억원이라고 정부 쪽은 주장했다. 대학의 경우 고려대와 카이스트가 각각 100만㎡ 부지에 612억원과 7700억원을 투자해 대학원과 연구기능 위주의 대학을 운영하기로 했다. 고교의 경우에는 세종시 입주기업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자율형 사립고 한 곳을 2012년 이전에 설치하고 ‘자율형+기숙형’ 공립고를 최소한 한 곳, 외고와 과학고, 예술고, 외국인학교 또는 국제고를 각각 한 곳씩 개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제적·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해외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글로벌투자유치 지구를 조성하고, 교육·과학관련 국제기구와 다국적 기업 아시아본부 등을 유치하는 등 ‘리틀(little) 제네바’로 육성하기 위해 국제교류 지구를 조성하기로 했다. 문서와 계약서 등을 한글과 영문으로 병기하는 영어공용화지구로 지정하고 외국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외국인이 살고 싶어하는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투자유치를 위해 부지 50만㎡ 이상 수요자에게는 미개발상태의 원형지를 공급하되 개발비용을 제외해 인근 오송 등 산업단지의 절반 수준인 3.3㎡당 36만~40만원에 제공하고, 신규투자 기업에 대해서는 소득·법인세 3년간 100% 감면하는 등 기업도시 수준의 세제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혁신도시에도 동일한 세제지원을 하기로 했다. 우수한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해 국내 최초의 도시형 국립수목원을 갖춘 중앙공원(280만7천㎡)과 아트센터, 국립도서관, 도시건축박물관,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의 가칭 천연약재박물관 등 문화시설의 건립도 추진된다. 이밖에 애초 2017년 완성예정이던 광역교통망은 2015년까지, 2030년까지 끝낼 계획이던 도시교통은 2015년까지 모두 마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주 입주 예정 기업·대학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달 중순 국토연구원과 행정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주관으로 공청회를 실시하는 등 다각적으로 여론을 수렴한 뒤 오는 4월 국회에 행정도시특별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제출해 통과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용인기자 yyi@hani.co.kr
| |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