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를 비롯한 관람객들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역사는 금방금방은 아니지만 긴 세월을 두면서 뚜벅뚜벅 발전해오고 있는 겁니다. 우리가 노력하면 세상이 바뀌는 거죠.”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씨지브이(CGV)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6월 민주화항쟁을 소재로 삼은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눈물 젖은 소감을 말했다. 이 자리에는 부인 김정숙 여사, 임종석 비서실장 등 청와대 참모, 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씨와 장준환 감독, 배우 김윤석, 강동원씨 등이 함께했다.
문 대통령은 영화를 본 뒤 무대에 올라 “내내 울면서 아주 뭉클한 마음으로 영화를 봤다”며 “가장 마음에 울림이 컸던 대사가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나요’였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6월항쟁 또 그 앞에서 아주 엄혹했던 민주화 투쟁의 시기에 독재권력도 힘들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민주화 운동 하는 사람들을 가장 힘들게 했던 말이 부모님이나 주변 친지들이 ‘그런다고 세상이 달라지느냐’고 하는 말이었다. 지난겨울 촛불집회에 참석할 때도 부모님이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느냐는 말 들으신 분이 많으실 것이다”라며 “오늘 이 영화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실제로 한순간에 세상이 바뀌지는 않는다. 항쟁 한번 했다고 세상이 확 달라지거나 하진 않는다”며 “(광주 민주화 항쟁을 다룬) 영화 <택시운전사>의 세상을 6월항쟁으로 끝을 내고, 그 이후 정권교체를 하지 못해 여한으로 남게 된 6월항쟁을 완성한 게 촛불항쟁”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상을 바꾸는 사람이 따로 있지 않다. 우리가 함께 힘을 모을 때, 연희(영화 속 등장인물)도 참가할 때 그때 세상이 바뀐다는 것을 영화가 보여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영화를 보니까 이 영화는 확실히 천만(관객)을 넘기겠다는 확실한 예감이 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평소 영화를 보고 곧잘 눈물을 흘린다는 문 대통령은 이날도 내내 눈시울을 훔쳤다. 정원찬 프로듀서는 “(대통령이) 너무 많이 우셔서…”라고 말했다. 영화 관람 전 열린 사전 간담회에는 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씨,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씨도 함께했다. 박씨와 배씨는 문 대통령에게 각각 책 <박종철과 우리, 30년의 기억, 그대 촛불로 살아>, <1987 이한열>을 선물했다. 배씨는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과 대화는 나눴으나, “영화는 차마 못 보겠다”며 극장에 들어서지 않았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하기 위해 입장하며 관람객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관객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극 중 이한열 열사를 연기한 배우 강동원 씨.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1987년 6월항쟁 당시 민주화 투쟁에 깊숙이 참여했다. 변호사였던 그는 당시 부산에서 ‘고 박종철군 국민추도회’를 하다가 경찰에 연행됐다. 문 대통령은 영화 상영 전 박종부씨에게 “1987년 박종철 열사 댁을 자주 찾아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해 5월20일 부산 당감성당에서 결성된 ‘민주헌법쟁취 범국민운동 부산본부’(부산 국본)에서 상임집행위원을 맡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상임집행위원장이었다. 대통령이 된 뒤엔 지난해 6·10 항쟁 30돌 기념식에 참석해 박종부·배은심씨와 함께 ‘광야에서’를 함께 부르기도 했다. 현직 대통령의 6·10 기념식 참석은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석 이후 10년 만이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