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BAR_김규남의 스냅샷_‘뜨거운 감자’ 의석수 확대
“지역구 의원들 지역구 축소에 결국 동의 못할 것”
“선거제도 개혁 개악 안돼…의석수 확대가 현실적”
여야5당 합의문에서도 ‘의석수 10% 확대 검토’
“지역구 의원들 지역구 축소에 결국 동의 못할 것”
“선거제도 개혁 개악 안돼…의석수 확대가 현실적”
여야5당 합의문에서도 ‘의석수 10% 확대 검토’
‘선거개혁 청년·청소년행동’ 회원들이 지난 3월6일 오전 국회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선거제도 개혁 합의를 촉구하며 `선거개혁 청년·청소년 1만 지지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야3당의 ‘의원정수 확대’ 주장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지난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의원정수를 유지하기 위해 지역구 수를 줄이는 것은 오히려 비례성과 대표성을 훼손할 여지가 있을 뿐 아니라 국회 본회의 통과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지역구 수는 그대로 두고 의원정수를 확대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유성엽 민주평화당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문희상 국회의장을 예방한 자리에서 “50% 세비 감축을 21대 총선 공약으로 내세우고 의원정수 50명을 늘려야 한다. 그러면 (현재의) 지역구는 유지하고, 39세 이하 청년 의원을 (비례대표 의석을 통해) 늘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지난 15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의원정수 확대에 대해) 정의당은 원래 그렇게 주장했었는데 결국 국민들의 여론이 의석수 늘리는 것에 반대해 민주당이 내놓은 (현재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절충안에 4당이 합의를 한 것이다. 그런데 사실 합의가 될 때 현실적인 과정에서 분명히 지역구를 축소하는 것에 대해서 반발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의석수 확대 문제가) 좀 일직 터져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의원정수 확대’ 주장의 3가지 배경
①의원정수 확대 주장이 이렇게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는 가장 큰 배경에는 현역 지역구 의원들이 본회의 표결 때 자신의 지역구가 줄어들거나 통폐합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현재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지역구 225석, 비례대표 75석’ 안이 지역구 의석을 현재(253석)보다 28석이나 줄이는 내용이기 때문이죠.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의원정수 확대가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라는 말이 나옵니다. 국회에 대한 불신으로 의원수를 늘리는 데 대해 부정적인 국민들의 반대를 뚫고 누가 의원정수 확대라는 방울을 달 수 있을까요. 실제 표면적으로는 의원정수 확대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민주당 내에서도 연동형 비례제 실시를 위해 의석수 확대가 필요하다거나 현역 지역구 의원들이 지역구 의석을 줄이는 데 동의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결국엔 의석수 확대로 정치권 합의가 이뤄질거라고 보는 의원들도 있습니다. 서울지역의 한 민주당 의원은 “(지역구 의석 축소가 어렵기 때문에) 의원정수 확대가 필요한데 민주당이든 한국당이든 먼저 주장하지 않으려 한다. 어쨌든 지금 패스트트랙에 지정된 안이 아닌 변형된 다른 안으로 통과될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국회 정개특위 소속 민주당의 다른 의원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여야 5당이 의원정수 30명(10%)을 늘려서 지역구 의원들의 지역구를 보장하는 쪽으로 결국 타협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②또 의원정수 확대 주장이 나오는 배경에는 차제에 제대로 된 선거제도 개혁안을 논의해보자는 의도도 깔려 있습니다. 선거제도 개혁의 목표인 비례성 확보를 위해서는 충분한 비례의석 확보가 중요한데 본회의에서 오히려 현재 패스트트랙에 지정된 안보다 개악된 안이 통과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여권의 한 핵심 인사는 “현재는 지역구 의석과 비례대표 의석수가 ‘225 대 75’로 논의되다가 결국에는 ‘240 대 60’정도로 절충되지 않을까 싶다. 지역구 의석이 225석이면 지금보다 28석이나 줄이게 되는데, 240석이면 13석만 줄이면 되니까 타협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만일 이런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이는 사실상 현재의 패스트트랙 안보다 개악되는 안입니다. 의원정수를 300명으로 고정한 채 비례대표 의석을 75석에서 60석으로 15석이나 줄여 비례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죠. 지금 패스트트랙에 지정돼 있는 선거제도 개혁안도 연동형을 50%만 적용하는 방식이라 비례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있는 상황인데요. 정치권의 의원정수 확대 주장에는 여야 5당의 협의틀이 마련되면 현재보다는 더 비례성과 대표성을 높이는 안으로 개선해야한다는 의미도 담겨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성엽 원내대표는 “국회의원 세비를 동결하더라도 의석수를 늘리는 게 현실적인 대안인데, 의석수 확대를 하지 않은 채 반쪽짜리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처리해선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③마지막으로 의원정수 ‘의원정수 10% 확대 검토’는 지난해 12월15일 여야 5당 원내대표 합의사항에 포함된 항목이라는 것도 의원정수 확대 주장의 주요 배경입니다. 선거제도 개혁에 사실상 반대하고 있는 자유한국당마저도 서명한 지난해 12월15일 합의는 20대 국회에서 선거제 개혁과 관련한 여야 5당의 유일한 합의입니다. 이 때문에 앞으로 정치권이 선거제도 개편 논의에 나설 때 이 합의문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 정치BAR 페이스북 바로가기 www.facebook.com/polibar21
◎ 정치BAR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ba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