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28일 오후 서울 혜화동 주교관에서 김수환 추기경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 전 시장은 지난 24일 부처님 오신날에 조계종 총무원장인 지관 스님을 면담하고, 다음 날인 25일에는 대구 대교구청 최영수 대주교를 예방하는 등 대선 국면을 맞아 종교계와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한나라당의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의 무분별한 ‘세 불리기’ 경쟁이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두 사람의 지지세 확장 경쟁이 지나쳐 구태·비리 인사도 가리지 않는가 하면, 대학 사회마저 줄 세우기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자문교수명단 17명 ‘맘대로’…‘5공 비자금’ 실형자도 포함
이명박, 교수들 ‘묻지마’ 영입=이 전 시장 쪽은 27일 무려 131명의 정책자문단 명단을 발표했다. 대선 주자가 이처럼 대규모의 정책자문 교수 명단을 공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 전 시장 쪽은 명단을 발표한 지 2시간만에 “15명이 잘못 기재됐다”고 1차 수정을 한 뒤, 다시 2시간 뒤엔 2명을 더 빼, 정책자문단을 모두 114명으로 정정했다. 명단에 올랐다 빠진 일부 교수들은 자신의 이름이 공개된 뒤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이 전 시장 쪽에서 지난해 11월부터 도와달라고 했지만 거절했고, 이번 명단 공개 때도 나한테는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 주변에서 오해를 받게 돼 불쾌한데, 화풀이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이 전 시장 캠프의 배용수 공보특보는 “여러 명이 나눠서 (명단을) 취합하다 보니, 영입 대상이거나 공개를 꺼린 사람들까지 포함되는 등 실무상 착오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번 소동은 이 전 시장쪽이 교수 사회의 지지세를 과시하기 위한 의욕이 지나쳐 자초한 일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교수들을 향한 ‘묻지마’ 영입 시도가 대학 사회를 어지럽힌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하태훈 고려대 법대 교수는 “교수들의 전문성을 정책으로 실현시키려는 노력은 필요하다”면서도 “교수 직함을 이용해 선거 때마다 이곳저곳 기웃거리면서 ‘폴리페서’(정치교수)라는 말을 듣거나, 강의조차 소홀히 하는 행태는 없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책자문단에 참여한 일부 인사들의 ‘과거사’도 개운치 않다. 명단의 첫번째 자리를 차지한 사공일 전 재무장관은 1996년 8월 전두환 비자금 사건으로 징역 2년6월,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2년전 비난세례 홍사덕씨 박근혜 캠프 선거대책위원장 박근혜, 구태·비리 정치인 영입=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최근 홍사덕 전 의원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박 전 대표의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선, 과거 고건 전 총리를 지지했던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이용휘 대표 등 집행부와 팬클럽 ‘우민회’ 회원 127명의 박 전 대표 지지 선언이 열렸다. 박 전 대표 쪽은 지난 25일엔 박희부 전 의원 등 민추협(민주화추진협의회) 소속 인사 30여명의 공개 지지를 받아내 세를 과시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선 이를 두고 “무분별하고 무원칙하다”란 비판이 나온다. 홍사덕 전 의원은 2005년 10·26재보선 당시 공천에 탈락해 한나라당을 탈당,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당시 대표였던 박근혜 의원은 “한나라당에 두 명의 후보가 있을 수 없다”며 홍 전 의원을 비판했다. 박 전 대표 캠프의 좌장을 맡고 있는 김무성 의원은 그때 당 사무총장으로, “탈당해 출마하는 사람은 민주주의 시민의 자격조차 없다”고 비난한 바 있다. 영남지역의 초선 의원은 “대표 시절 탄핵의 주역이라고 사실상 공천에서 배제했던 사람을 캠프의 요직에 앉히려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민추협 부의장인 박희부 전 의원 역시 1995년 한보비리에 연루돼 법원에서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3년, 추징금 1천만원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다. 한나라당의 한 초선 의원은 “경선 승리를 위해 너무 원칙없고 무분별한 영입을 하고 있다”며 “당의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켜, 본선 경쟁력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조혜정 성연철 기자 zesty@hani.co.kr
교수들을 향한 ‘묻지마’ 영입 시도가 대학 사회를 어지럽힌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하태훈 고려대 법대 교수는 “교수들의 전문성을 정책으로 실현시키려는 노력은 필요하다”면서도 “교수 직함을 이용해 선거 때마다 이곳저곳 기웃거리면서 ‘폴리페서’(정치교수)라는 말을 듣거나, 강의조차 소홀히 하는 행태는 없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책자문단에 참여한 일부 인사들의 ‘과거사’도 개운치 않다. 명단의 첫번째 자리를 차지한 사공일 전 재무장관은 1996년 8월 전두환 비자금 사건으로 징역 2년6월,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선거캠프에서 자신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고건 전총리 지지모임 ‘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이용휘 회장(오른쪽)과 회원들의 두 손을 맞잡아 들어보이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2년전 비난세례 홍사덕씨 박근혜 캠프 선거대책위원장 박근혜, 구태·비리 정치인 영입=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최근 홍사덕 전 의원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박 전 대표의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선, 과거 고건 전 총리를 지지했던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이용휘 대표 등 집행부와 팬클럽 ‘우민회’ 회원 127명의 박 전 대표 지지 선언이 열렸다. 박 전 대표 쪽은 지난 25일엔 박희부 전 의원 등 민추협(민주화추진협의회) 소속 인사 30여명의 공개 지지를 받아내 세를 과시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선 이를 두고 “무분별하고 무원칙하다”란 비판이 나온다. 홍사덕 전 의원은 2005년 10·26재보선 당시 공천에 탈락해 한나라당을 탈당,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당시 대표였던 박근혜 의원은 “한나라당에 두 명의 후보가 있을 수 없다”며 홍 전 의원을 비판했다. 박 전 대표 캠프의 좌장을 맡고 있는 김무성 의원은 그때 당 사무총장으로, “탈당해 출마하는 사람은 민주주의 시민의 자격조차 없다”고 비난한 바 있다. 영남지역의 초선 의원은 “대표 시절 탄핵의 주역이라고 사실상 공천에서 배제했던 사람을 캠프의 요직에 앉히려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민추협 부의장인 박희부 전 의원 역시 1995년 한보비리에 연루돼 법원에서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3년, 추징금 1천만원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다. 한나라당의 한 초선 의원은 “경선 승리를 위해 너무 원칙없고 무분별한 영입을 하고 있다”며 “당의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켜, 본선 경쟁력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조혜정 성연철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