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김선우의 빨강] 채소 맛 감별사

등록 2015-03-30 18:59수정 2015-03-30 18:59


김선우 시인·소설가
김선우 시인·소설가
내가 ‘요리’에 그다지 관심 없는 이유는 문명화 덜 된 내 미각 때문일 거다. 현미콩밥, ‘잘 만든’ 김치, 김, 두부, 적당량의 제철 채소와 과일들. 이 정도만 공급되면 나는 거의 외식 욕구 없이 산다. 채소도 삶거나 찌는 것 외에 ‘요리’는 안 한다. 된장에 찍어 먹거나 식초, 올리브유 등을 뿌린 샐러드 정도이거나 간단히 끓이는 수프로 먹는다. 무엇을 먹든 재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맛이 느껴져야 좋다. 유기농 채소를 먹을 때 일석이조로 좋은 것은 음식물쓰레기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것. 양파도 파도 고구마도 과일도 가능한 한 버리는 부분 없이 껍질째 몽땅 쓴다. 땅살림을 실천하는 농부님들에 대한 내 식대로의 빚 갚음 형식이기도 하다. 내 식탁을 보고 이렇게 먹고도 만족이 되느냐고 묻는 친구들이 있다. 만족이 된다. 요리 만드느라 바지런을 떨기엔 나는 너무 게으르니 야생성 미각은 내겐 안성맞춤인 셈. ‘요리’ 먹고 싶다는 욕구가 거의 안 생기는 대신 구체적인 재료의 이름이나 색깔이 떠오른다. 시금치를, 당근을, 단호박을 먹고 싶다라든가 보라색이, 붉은색이, 노란색이 먹고 싶다라든가. 요리된 음식이 아니라 재료가 가진 맛, 향, 색이 떠오르면서 “먹고 싶다!”고 입맛을 다시는 이런 체질에 적합한 부업이 ‘채소 맛 감별사’라던데. 하하. 시인의 부업치곤 나쁘지 않다. 물론 이런저런 이유로 가끔 밖에서 외식할 땐 ‘남기지 않고 맛있게 먹기’가 기본이다. 야생밥상만 즐기다가 가끔 문명밥상 앞에 가면 저절로 그렇게 된다.

김선우 시인·소설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1.

[사설]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윤석열 파면되면 국힘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 2.

윤석열 파면되면 국힘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3.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4.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공교육에 부적합한 AI 교과서, 세금으로 무상보급 웬 말인가 [왜냐면] 5.

공교육에 부적합한 AI 교과서, 세금으로 무상보급 웬 말인가 [왜냐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