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김선우의 빨강] 꿀벌의 눈동자

등록 2015-03-08 18:46


김선우 시인·소설가
김선우 시인·소설가
몇 년 전 남인도의 공동체 오로빌에 머물 때 친하게 지낸 주민이 있었다. 그녀의 파트너는 이탈리아인이었다. 오로빌에선 아내/남편, 이런 소유관념 강한 말보다 파트너라는 말을 선호한다. 사랑해서 함께 지내는, 일종의 솔메이트다. 두 사람은 이탈리아와 오로빌을 오가며 생활했다. 오로빌에서 하는 일이야 명상, 요가, 예술활동, 유기농업 등인데, 나는 그 남자가 이탈리아에서 하는 일이 궁금했다. 그는 로마 근교 숲에서 꿀벌을 치며 산다고 했다. 오호, 명상하는 꿀벌치기라! 시인에게도 퍽 어울리는 부업 같지 않은가. 아담한 숲 근처에 작은 오두막 하나가 떠올랐다. 꽃피는 철에 조그만 전기차 한 대 슬슬 몰고 꽃 따라 다니며 벌통을 놓아둔다. ‘벌들이 일하는 동안’ 근처 마을장터에 나가 꿀을 팔거나 시골분교 아이들에게 시, 소설을 읽어주며 놀다가 해 지면 벌통 거두어 떠나고… 유랑문학극장을 겸해 작은 차 한 대로 꽃 따라 유라시아를 떠돌며 한 몇 년 살아도 좋겠구나. 그런 생각이 스쳐갔다. ‘꿀벌이 줄어들고 있다’는 뉴스를 작년에 접했다. 올해는 어떨까, 주의를 기울이는 중이다. 세계 곡물 생산 30퍼센트 이상이 벌 수분에 의존하므로 벌의 감소는 인류가 직면할 위기를 알리는 비상등이기도 하다. 기후변화와 농장·과수원에서 사용하는 살충제·농약 영향이 크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지구에서 벌이 사라지면 인류는 4년 내로 멸종”한다고 경고했다. 살충제 범벅인 꽃 속에서 죽은 벌의 눈동자가 인간을 안쓰럽게 들여다보는 것 같다.

김선우 시인·소설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1.

[사설]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윤석열 파면되면 국힘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 2.

윤석열 파면되면 국힘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3.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4.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공교육에 부적합한 AI 교과서, 세금으로 무상보급 웬 말인가 [왜냐면] 5.

공교육에 부적합한 AI 교과서, 세금으로 무상보급 웬 말인가 [왜냐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