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내 수첩을 공유합니다

등록 2012-02-03 21:46수정 2012-04-18 10:19

정희진 여성학 강사
정희진 여성학 강사
[토요판] 정희진의 어떤 메모
이곳은 내 수첩을 공유하는 쑥스러운 자리다. 책을 읽다가 책갈피나 포스트잇을 사용하거나 페이지를 접어놓는 경우가 있다. 나는 메모하면서 읽기 때문에 연필을 끼워둔다. 나는 책을 많이 읽거나 책읽기를 좋아하는 타입은 아니다. 이렇게 말하면 좀 수다스러운 느낌이 있지만 ‘목숨을 부지하려고’ 읽는다. 내가 책을 읽는 이유는 두 가지다.

생계 문제와 병치레로 최근 몇년간 여섯 차례 이상 이사를 했다. ‘간이 이사’를 포함하면 셀 수 없을 정도다. 그때마다 청소에 진력이 났다. 이제는 청소가 겁나 이사를 하느니 어디든 받아주는 ‘시설’로 들어가 생을 마칠 생각이다. 엄마에게 “인생은 청소인가 봐” 하소연했더니 엄마가 말씀하셨다. “그걸 인제 알았냐.” 청소를 심각하게 생각하게 된 나는 인생에서 피할 수 없는 노동 목록을 만들어 보았다. 취업, 요리, 사랑, 공부, 육아, 이별, 글쓰기… 그리고 “사랑은 아무나 하나, 그 누가 쉽다고 했나” 태진아의 가사를 대입시켰다. “돈은 아무나 버나”, “애는 아무나 키우나, 그 누가 쉽다고 했나”… 만만한 일이 하나도 없다. 쭉 적다 보니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라는 나와 어울리지 않는 결론에 이르렀다. “책은 아무나 읽나, 그 누가 쉽다고 했나.” 그나마 이 말에 마음이 가벼워졌다.

누구는 아니었겠냐마는 나는 한때 문학소녀였다. “입시가 먼저”라고 다짐하면서 책읽기를 참다가(?),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811.37(한국 소설 분류) 계열을 읽어대기 시작했다. 첫 학기가 끝날 무렵 이문열의 <금시조>를 접하게 되었는데, 이 소설을 읽고 문학의 꿈을 접었다. 19세 소녀의 눈에 그의 문장이 어찌나 위대해 보였는지, “나는 안 되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하도 기가 죽어서 포기에 미련이 없었다. 그런데 몇해 전 이문열이 어느 매체에서 다음과 같은 요지의 말을 했다. “(내게도) 글쓰기는 고통이다. 글을 쓸 때 가장 덜 외롭기 때문에 쓴다.” 아, 이문열도 외롭구나.

사람마다 사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인생의 의미라고 해서 거창한 건 아니고 추운 겨울날 아침 따뜻한 잠자리에서 나오려면 상당한 수준의 삶의 동기가 필요하다. 근데 나는 여전히 방황중이다. 이와 더불어 내 인생고 중 하나는 외로움인데(생활고를 제쳐둔다면), 외로움은 내가 나랑 만날 때, 나랑 놀 때, 내게 몰두할 때 다소 견딜 만해진다. 그것이 내겐 책읽기다. 내가 책을 읽는 이유를 요약하면, 삶이 힘든데 책읽기는 그중 ‘쉬운’ 일, 덜 외로운 일이어서다. 책과 삶 사이에는 거리가 있다. 책은 현실이 아니라 현실의 재현이기 때문에 고단한 삶을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

나는 어딜 가나 펜과 종이를 가지고 다니며 메모하는 버릇이 있다. 어두운 극장에서도 대사를 적어가며 영화를 본다. 감동적인 노래 가사, 거리의 간판, 지하철역, 식당 액자의 언어도 적어둔다. 하지만 이 지면의 텍스트는 출판된 책으로 국한한다. 책을 읽다 보면 누구나 밑줄을 긋게 되는 구절이 있다. “나는 더 이상 맑스주의자 아니다, 맑스”, “정치는 전쟁의 연장이다, 푸코”, “전쟁은 정치의 연장이다, 클라우제비츠”, “배의 맛을 알고자 한다면 배를 변화시켜야 한다. 즉, 입속에 넣고 씹어야 한다, 마오쩌둥”, “남을 억압하는 사람은 자신을 해방시킬 수 없다, 파농”, “어이, 거기!, 알튀세르”, “차이의 기호가 될 때 여자는 끔찍해진다, 브라이도티”, “모성은 본능이 아니라 경험이다, 나혜석”, “어둠은 결코 빛보다 어둡지 않다, 최명희”, “좌절은 소비를 부른다, <토지>”, “모든 곡식은 오래 씹으면 단맛이 나지요, <태백산맥>”….

역사를 바꾼 말도 있고 나를 상담해준 글귀도 있다. 이들은 시대와 학문을 함축한다. 이 지면에서 내 꿈은 한 문장에 대해 저자가 말하고자 한 의미, 역사적 맥락, 지식 전반에 미친 영향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분석’한 뒤, 이를 글로벌 자본주의와 후기 국민국가가 좌충우돌하는 이 시대 ‘동아시아 여성(나)’의 시각에서 재해석해보는 것이다. 이 지면을 통해 나 자신이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설레고 긴장된다. 여성학 강사

<한겨레 인기기사>

자살학생 마지막 문자는 “장례식 오면 가만안둬”
이건희 “한푼도 못 줘…고소하면 고소하고 헌재까지 갈것”
“안철수 입장 빨리 밝혀라”…‘안달복달’ 새누리
새누리, 승자의 변심…김형태·문대성 처리 유보
‘성추행 정직 6개월’ 피디가 MBC 마감뉴스 맡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1.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우리는 정말 ‘정치 양극화’에 반대하나 [강준만 칼럼] 2.

우리는 정말 ‘정치 양극화’에 반대하나 [강준만 칼럼]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3.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4.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고용도 인연인데, 어떻게 인연을 이렇게 잘라요?” [6411의 목소리] 5.

“고용도 인연인데, 어떻게 인연을 이렇게 잘라요?” [6411의 목소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