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정희진의 어떤 메모
<길에서 살고 길에서 죽다>, 한수산 지음, 생활성서사, 2000
한수산은 <군함도>를 쓰기 전인 1993년부터 같은 소재로 <중앙일보>에 소설 <해는 뜨고 해는 지고>를 연재했다. 그런데 쓸 이야기가 너무 많아서 “3년이 다 되도록 주인공들이 군함도에 들어가지도 못했다”고 한다(<씨네21>, 1114호). 그의 이야기에 공감, 한참 웃었지만 금세 좌절감이 밀려왔다.
이것은 언어와 권력의 문제다. 작가와 비교하기 민망하지만, 내 글도 시작까지 길이 멀다. 아니, ‘군함도에 들어가기’ 전에 길을 잃는다. 이유는 다르다. 그는 정말 할 말이 많아서, 나는 전제가 필요해서다. 예를 들어, ‘계급’은 설명하지 않아도 되지만 ‘젠더’는 그렇지 않다.
좋은 글은 기존의 언어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그것을 전유(轉有)하는 것이다. 모든 언어는 각각 다른 전제가 있는데, 통념이나 이데올로기 같은 지배적 언어는 이미 공유되어 있다. 소수자의 언어는 전제를 설명하거나 번역해야 한다. 이 과정을 생략하면 폭력적, 자의적, 비과학적 글이 ‘된다’. 내게 최선의 방법은 노동이다. 여러 버전을 쓰는 것이다. 운이 좋은 날은 글의 윤곽이 어른거리지만 대부분은 실패다. 방황의 흔적만 남긴 채 끝나거나 포기하고 남들 쓰는 대로 쓴다.
글은 아는 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버리는 과정이다. 앎이란,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지식을 다르게 배치하는 것이다. 지식이 자료에 ‘불과’함을 증명하는 일이다. 그래서 진보(進/步)의 방식은 계속 걷기고, 보수(保/守)의 도구는 과거를 지키는 익숙함(진부함)이다. 쉬운 말은 지배자, 사기꾼, 게으른 이들의 언어다. 한국 사회처럼 스트레스가 많은 곳에서는 선호될 수밖에 없다. 생각은 엄청난 노동이기 때문이다.
자기모순은 언어를 빼앗긴 이들의 운명이다. 이것이 지배와 피지배 관계의 핵심이다. 강자의 삶과 기존의 언어는 일치하지만 약자의 삶과 언어는 불일치한다. ‘세계문화유산 군함도’는 누구의 관점인가? 피억압자의 노동을 지배자의 시각에서 정의하는 것, 이것이 가부장제요, 제국주의요, 인종주의다.
부정의가 정당화되고 지속되는 이유 중 하나는 소수자의 ‘선택’이 많기 때문이다. 지배자의 언어를 열심히 배우거나, 끊임없이 혼란과 의심에 시달리거나, 교란을 꾀하거나, 새로운 언어를 모색하거나…. 모두 간단치 않다. 사회는 약자가 말만 해도 폭력으로 간주한다.
듣지도 말하지도 않는 침묵도 한 방법이다. 나는 강의 외에는 거의 말하지 않는다. 분한 일이 있어도 참는다.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상황 중 하나는,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과 평화적 해결이라는 이름으로 ‘대화’를 강요받을 때다. 나는 이에 응하지 않으려고 죽을힘을 다한다. ‘웃으면서’ 되묻는다. 답하면 결과는 둘 중 하나, 백전백패거나 가해자가 된다. 분노로 흥분하거나 초과 발언을 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침묵 다음의 ‘대안’이 있다면, 말과 권력의 연결이 느슨한 길 위의 삶이 아닐까. 어디에도 정착하지 않는, 닿고 떠나기를 반복하는 유착(流着)의 여정. 길은 수단이나 방향이 아니라 공간이다. 말은 풍경(전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좋은 기행문은 저자와 독자를 새로운 말의 세계로 데려간다. 한수산의 성지 순례기 제목 <길에서 살고 길에서 죽다>는 “교우를 만나기 위해 하루 80리에서 100리(40㎞) 걸었던” 최양업 신부의 이야기에서 따왔다(106~113쪽). 성인(聖人)은 ‘저들의’ 말의 권력에서 벗어나 길에서 살고 길에서 죽는 이들이다.
나는 생애 꼬박 집과 도서관을 왕복했다. 더 이상 ‘남자들의 집’에서 그들의 언어와 씨름하고 싶지 않다. 길 위에서 살아보리라. 모든 짐을 정리하고 집을 떠나 부초가 되어보자. <부초(浮草)>를 다시 집었다. 예전에 읽을 때와 달리 완벽한 절망이 왔다. 여자인 내게 어떻게 “하늘이 천막”(1977, 민음사, 361쪽)일 수 있겠는가. 성폭력부터 생각났다. 아주 먼 훗날일지라도 길 위에서 살기 위해, 다시 책상 앞에 앉았다.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