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당시 미 국무장관이 2016년 4월22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파리기후변화협정 서명식에서 손녀딸을 안은 채 서명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2016년 4월 손녀딸을 무릎에 앉힌 채 파리기후변화협정에 직접 서명했던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이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의 핵심 공약인 기후변화 대응을 추진한다.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 인수위원회는 23일(현지시각) “케리 전 장관이 기후변화에 대응해 싸우는 역할을 맡았다”며 그의 대통령 기후특사 지명 소식을 전했다. 기후특사로는 처음으로 국가안보회의(NSC)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기후변화 문제를 중요한 안보 문제로 삼아 대응에 나설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바이든 당선자는 대선 승리가 확정된 뒤 첫 약속으로 파리기후변정 협정 복귀를 발표하기도 했다.
케리 전 장관은 2004년 민주당 대선후보를 지낸 당내 중량급 인사다. 미국 언론은 그에게 기후특사를 맡긴 것은 ‘파워풀한 신호’라고 평가했다. <뉴욕 타임스>는 니콜라스 번스 하버드대 교수를 인용해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의 신뢰는 지난 4년간 곤두박질 쳤다”며 중국 다음으로 세계 두 번째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미국이 이 문제에 대한 국제적 신뢰를 다시 세워나갈 것이라고 평했다.
케리 전 장관은 이번 대선 때 바이든 캠프의 기후대책위원회 일원으로 활동하며 탄소 감축 정책 개발 등에 참여했다. 그는 기후특사로 지명된 뒤 본인 트위터에 “미국은 곧 기후 위기를 시급한 국가 안보 위협으로 취급하는 정부를 갖게 될 것”이라며 “바이든 당선인과 동맹국, 기후 운동가들과 협력해 지구온난화의 위기를 해소하겠다”고 썼다.
케리 전 장관은 2004년 민주당 대선후보로 조지 부시 당시 대통령과 맞붙었고, 2009~2013년 상원 외교위원장을 지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맡았다.
특히 2015년 미 국무장관으로서 파리협정 체결을 주도했고, 이듬해 4월22일 기후변화를 막는 것이 미래 세대에 대한 의무라는 뜻에서 자신의 손녀딸을 직접 안고 유엔총회장 단상에 등장해 협정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다섯 달 만인 2017년 6월 이 협정 탈퇴를 선언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