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13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리고 있다. 프놈펜/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과거사 책임 문제를 건너 뛰고 일본을 “협력하는 파트너”로 부른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두고 국내에서 반발 여론이 상당하지만 미국 국무부는 크게 환영하는 입장을 내놨다. 한-미-일 삼각 공조를 강화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해 온 과거사 문제에 대한 태도를 누그러뜨리며 한-일 협력만 강조하자 크게 반색하는 모습이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1일(현지시각) 정례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 기념사에 대한 언급을 요청받자 “우리는 (한-미-일) 삼자 협력에 많은 에너지를 투자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은 두 나라(한·일)의 공통의 가치에 기반해 더욱 협력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뚜렷이 표현했다”고 평가했다. 또 “우리는 이런 비전을 매우 지지하며, 한-미-일 협력은 세 나라가 21세기에 함께 직면한 도전들을 해결하는 데 긴요하다”고 했다. 이어 이런 노력의 과정에서 한-미-일 정상, 외교 장관, 외교 차관, 북핵 대표에 이르는 3자 회담과 접촉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나아가 “우리는 최근 양국 관계 개선 노력을 펼쳐온 한국의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박수를 보낸다”며 “일본과 한국이 치유와 화해를 촉진해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려고 공조하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했다.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일본의 부당한 주장이 세 나라 협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는 “우리 동맹들 사이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며 “생산적인 길”을 찾아 한-일 관계를 진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 및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미국의 부담은 덜기 위해 한-미-일 협력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필요한 한-일 관계 개선을 줄기차게 종용해왔다. 최근 세 나라의 고위급 회담에선 북핵 못지않게 대만해협 정세 등 중국을 겨냥한 언급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한-일 관계 개선 요구는 4월 말께로 예상되는 윤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