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직장·취업

[최영순의 톡톡 튀는 직업인] 숨어있는 아름다움을 디자인

등록 2007-09-09 22:24수정 2007-09-09 22:32

속옷 디자이너 박미숙 ‘비비안’ 과장
속옷 디자이너 박미숙 ‘비비안’ 과장
속옷 디자이너 박미숙 ‘비비안’ 과장
여성 속옷 회사 비비안 디자인실의 박미숙(34) 과장은 경력 9년차의 속옷 디자이너다. 비비안의 브래지어, 팬티 등 파운데이션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회사의 핵심 품목인 만큼 그의 책임감도 막중하다.

박 과장이 속옷의 매력에 빠져 든 것은 친한 선배의 외국 속옷 상품 출시 작업을 도와주면서였다. 의상학과를 졸업한 뒤 다른 의류 디자인 업체에서 일하고 있을 때였다.

“그때만 해도 국내에서 속옷 디자인은 미개척 분야였습니다. 속옷은 그냥 속옷일 뿐이라는 생각이 지배했고 흰색이나 아이보리색의 면소재가 주를 이루었으니까요. 또 여름에는 시원한 것, 겨울에는 보온이 잘되는 것이 구매 포인트였어요. 패션이나 소품으로 속옷을 산다는 인식이 없었지요. 하지만 가까운 일본만 해도 크고 작은 속옷 가게들이 길거리에 즐비하고, 소모품처럼 속옷을 사 입는 걸 보고 많이 놀랐습니다.”

의류회사에서 디자이너들은 보통 새제품을 봄·여름, 가을·겨울 두 시즌으로 나누어 선보인다. 박 과장의 브래지어 팀에서는 시즌당 30여 가지를 내놓아야 해,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제품으로 출시되는 것보다 두세 배 많이 디자인 시안을 만들어 품평회를 거칩니다. 새제품은 텔레비전 광고 시작 며칠 전에 시중에 선보입니다. 이때 디자이너들은 피가 마르죠. 매장에 나가 소비자의 반응을 살피고, 판매 현황도 점검하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죠.”

‘겉옷 같은 속옷’이 트렌드
예뻐도 불편하면 외면받아
시즌당 30여개 제품 출시


평소에는 제품의 완성도를 위해 공장을 수시로 찾으며, 외국 유행을 읽고자 외국으로 출장을 자주 가는 편이다. 또 새제품 출시 전에 자신이 며칠 동안 착용해 보고 불편한 점 등을 꼼꼼히 점검한다. 아무리 디자인이 예쁜 속옷이라도 불편하면 소비자가 외면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세계에서 제일 까다롭다고 합니다. 디자인, 소재, 기능 등 모든 것을 다 충족해야 사거든요. 외국 유명 브랜드 담당자들이 이런 까다로운 조건을 어떻게 맞추느냐며 우리나라 디자이너들을 보고 감탄할 정도입니다.”

최영순의 톡톡 튀는 직업인
최영순의 톡톡 튀는 직업인
박 과장은 ‘겉옷 같은 속옷’을 최신 속옷 흐름으로 꼽았다. “요즘은 겉옷 트렌드와 속옷이 함께 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재도 겉옷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기도 하죠. 깊게 파인 가슴선을 강조하거나 반짝이 소재 등을 사용하는 화려한 디자인도 한동안 유행할 것 같습니다. 특히 여름에는 얇은 겉옷 때문에 다소 심플했던 디자인들이 가을, 겨울에는 다시 화려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남성 속옷도 여성 속옷 못지않게 대담하고 화려한 패턴과 디자인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 디자이너가 말하는 속옷 관리법

속옷은 세탁할 때 충분히 헹궈야 한다. 세제가 남아 있으면 변색되거나 원단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손빨래보다 망에 넣어 세탁기에서 완벽하게 헹구는 것이 더 낫다. 또 형태를 잘 잡아 말려야 하고 속옷함에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브래지어는 접은 팬티를 볼륨을 살리듯 양쪽에 끼워 넣으면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보관하기가 쉽다.

최영순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withys@work.go.kr

사진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 고용정보원 TIP

속옷 디자이너는 시장조사를 거쳐 소비자의 취향과 유행을 파악하고 소비자층에 맞는 스타일·색상·기능 등을 고려해 디자인한다. 의류 디자이너와 달리 속옷 디자이너는 직접 패턴(종이본) 제작, 본보기 제작, 시침질, 수정 등의 전 과정에 관여하며 완성품이 나오면 꼼꼼히 살펴 품질의 이상 유무도 점검한다.

대부분 의상학 전공자이지만 입사 후 디자인실에서 속옷 실무를 별도로 배우게 되는데, 요즘은 사설학원에서 속옷 과정을 배운 뒤 입사하는 이들도 많다.

대기업 디자인실은 결원 때에 필요 인력을 소수 채용하고 근무 여건도 안정적이어서 경쟁률이 높은 편이다. 이르면 입사 뒤 5~6개월, 보통은 1년이면 자신만의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갖추게 된다. 하지만 최소 2~3년은 견습 기간으로 삼아야 할 만큼 충분한 숙련이 필요하다. 중소 브랜드업체는 신입디자이너보다는 경력자 중심으로 채용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최상목의 오발탄 1.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최상목의 오발탄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2.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3.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4.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5.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