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부동산 대책 발표 한 달째를 맞은 서울 아파트시장은 거래가 끊어진 채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재건축을 앞둔 서초구 반포본동 주공 아파트 모습.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8·2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째를 맞은 서울 아파트시장은 쥐죽은 듯 조용한 분위기다. 매도자들은 집을 팔 것인지 여부를 고민하고 매수자들은 추가적인 가격 하락을 기대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선 매도·매수자들의 이런 눈치보기 장세로 인한 ‘거래 절벽’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30일 한국감정원 통계를 보면,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맷값은 정부 대책 발표 이후 3주 연속 하락세다. 민간 시세 조사업체인 부동산114의 통계에선 대책 직후인 지난 11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이 7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뒤 3주 연속 내렸다. 투기과열지구 지정으로 조합원 지위 양도가 금지된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나 서초구 반포 주공1단지 등은 거래가 사실상 중단돼 중개업소들이 ‘개점 휴업’ 상태다. 용산구 한남뉴타운 일대는 양도소득세 중과를 우려한 다주택자들이 1억~2억원 내린 매물을 내놓고 있지만 매수자가 없고, 동작구 흑석뉴타운도 매수자를 찾기 힘들다. 강북에서도 거래가 얼어붙은 가운데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이 중복 지정된 노원구 일대에선 급매물이 속출하고 있다.
전세시장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전세 변동률은 지난 5월 0.34%, 6월 0.50%, 7월 0.46% 상승했으나 8월에는 0.21%로 오름폭이 둔화했다. 그러나 최근 서울 집값 하락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앞으로 실수요자들이 매매 대신 전세를 선호하는 경우 전셋값이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최근 이주에 들어간 강동구 둔촌주공, 연말 예정인 개포동 주공1단지 등 대규모 재건축 단지 주민들의 이주로 인해 인근 지역 전셋값이 들썩일 것으로 우려된다. 김규정 엔에이치(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연내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예년보다 많지만 서울은 여전히 부족한 탓에 수요가 쏠릴 경우 전세시장은 불안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택 매매시장과 달리 신규 아파트 청약 시장엔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에스케이(SK)건설이 지난 17일 분양한 서울 마포구 공덕동 ‘공덕 SK리더스뷰’는 195가구(특별공급 제외) 분양에 1순위에서 평균 34.6대 1의 경쟁률로 전 주택형이 마감됐다. 마포구가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으로 중복 지정돼 중도금 담보인정비율(LTV) 40% 등 강화된 대출 규제를 적용받지만 실수요가 위축되지는 않은 것이다. 또 규제에서 비껴난 수도권에서 우려됐던 ‘풍선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남양주시 호평동에 선보인 ‘두산 알프하임’은 지난 17~18일 1·2순위 청약에서 500여가구가 대거 미달됐다.
정부는 8·2 부동산 대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입법 등 후속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책 때 발표한 재건축, 청약 규제 등을 법제화하기 위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등 법령 개정안 5건 가운데 소득세법을 제외한 4건이 이미 입법예고됐다. 정부가 다음달 발표할 ‘주거복지 로드맵’에 포함될 전월세 시장 안정화 방안도 주목된다. 매년 공적임대 17만가구 공급과 신혼부부 및 1인 가구 등 계층별 주거복지 확충 계획과 함께 임대차시장 개선 방안도 담을 예정이기 때문이다.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을 늘리기 위해 건강보험료를 깎아주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 등도 추진될 예정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