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문을 연 광주광역시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 본보기집. 우미건설 제공
지난달 전국의 아파트 입주율이 전월 대비 6%포인트 이상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입주를 못한 원인 가운데는 ‘잔금 대출 미확보’를 꼽은 비율이 전달에 견줘 대폭 증가했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 조사를 보면, 지난 9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입주·잔금완납 가구수/입주 대상 가구수)은 65.1%로 전월 대비 6.4%포인트 떨어졌다. 수도권은 81.1%에서 81.5%로 상승했지만, 5대 광역시는 68.3%에서 63.3%로, 기타 지역은 70.3%에서 60.3%로 각각 하락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 셈이다. 수도권 안에서는 서울이 85.3%에서 85.4%로, 인천·경기권은 79.1%에서 79.6%로 소폭 상승했다.
비수도권 중에서는 강원권이 62.0%에서 46.6%로 대폭 하락했다. 2018년 6월 이후 역대 최저점이다. 이는 강원권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도 바깥 주민의 매매가 줄면서 아파트 시장 전반이 침체된 영향이라고 주산연은 설명했다. 입주율이 크게 떨어진 단지에서는 통상 전세 급매물이 늘고 전셋값이 하락하게 된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 대출 미확보’가 지난 8월 전체의 9.8%에서 지난달 21.3%로 대폭 증가했다. 반면 ‘기존 주택 매각 지연’(45.1%→36.2%), ‘세입자 미확보’(25.5%→25.5%), ‘분양권 매도 지연’(13.7→10.6%) 등은 모두 감소했다.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인상과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축소,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종료 등 대출상품 규제가 잔금 대출 여건을 어렵게 만든 것으로 풀이된다.
10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달(95.6)보다 3.2포인트 내린 92.4로 조사됐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주택사업자들 사이에서 입주가 늘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전달에 견주면 수도권(107.1→103.7)과 광역시(97.→97.2), 도 지역(90.0→84.6) 모두 전망지수가 하락세를 보였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