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nomy | 곽현수의 차 한 잔
장하성 정책실장이 4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일자리 추경ㆍ소득 분배ㆍ양극화 해소와 관련한 대책을 발표하고있다.청와대사진기자단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
양극화 해소는 새 정부의 핵심 의제 중 하나다. 이를 위한 정책들은 기대컨대 주식 시장에서도 양극화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고 판단한다. 그 이유는 M2(광의의 유동성)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에서 풀이해볼 수 있다. 모든 현상에는 원인이 있다. KOSDAQ 지수가 KOSPI 대비 부진했던 데도 이유는 있다. M2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이 핵심 변수다. KOSDAQ은 개인 투자 비중이 높은 만큼 국내 경기에 민감하다. KOSPI는 외국인 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대외 경기에 민감하다. 가계나 중소기업 등 국내 경기와 연관성이 깊은 경제 주체들의 체감 경기 또는 유동성 관련 중요 지표는 M2 증가율이다. 수출 비중이 높은 대기업에 중요 지표는 수출 증가율이다. 지난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레임덕과 국정 공백 사태가 지속되면서 국내 체감 경기는 악화일로였다. 올해 3월 M2 증가율(로그 기준)은 2015년 4월 5.3% 이후 최저인 5.7%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율은 반대다. 지난 2월 수출 증가율은 18.4%로 2011년 8월 22.7% 이후 최고치였다. 지난 2월 기준 M2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 차는 -12.7%로 2012년 -13.9% 이후 최고 격차를 기록했다. 이 결과가 KOSDAQ 지수와 KOSPI 간 수익률 차로 직결됐다. [그림2. M2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 차(X축)와 KOSDAQ 지수의 KOSPI 대비 상대 강도(Y축) 산포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업과 가계 간 양극화 해소 방법은 결국 대기업의 투자와 고용이다. 투자와 고용의 다른 이름은 상생이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새정부의 정책 기조에 동행할 필요성이 있고 상반기 수출 경기 개선도 투자와 고용 확대의 동기가 될 정도로 충분했다. 국내 유동성 확대에 따라 속된 말로 돈이 돌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투자와 고용 확대가 대기업 입장에서는 당장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소지가 있다. KOSPI 기업 순이익이 올해 사상 최대치를 재차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전년 대비 30% 내외의 순이익 증가가 기대된다. 속을 들여다보면 내실은 좋지 못하다. 매출 증대보다 매출 원가와 판관비 감소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이익 증가의 핵심 사유다. 투자 감소에 따른 매출 원가와 고용 축소에 따른 판관비 감소는 그야말로 불황일 때 나오는 행태들이다. 작년 KOSPI 내 기업들의 CAPEX(자본적 지출, 설비투자) 대비 현금 비율은 사상 최고인 91%에 달한 점은 이런 상황을 잘 보여준다. 기업의 태도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는 뜻이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매출 증대가 수반되지 않는 투자와 고용 확대가 자칫 수익성 훼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단기적으로 부담일 수는 있다. 길게 보면 다르다. [그림3. 제조업 기업의 CAPEX 대비 보유 현금 비율(IFRS 별도 기준)]
고용과 투자 확대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내수 소비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서 중도 또는 보수 성향의 정당이 집권당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처럼 극단적인 자국 실리주의 외교를 펴게 된다면 한국의 수출 전선은 중장기적으로 안심할 수 없다. 대기업의 고용, 투자 확대는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안정적인 시장인 내수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현명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안전판을 확보하는 셈이다. 자산 투자에 있어 절대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변동성 관리도 그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상기하면 내수 소비 성장의 밑거름인 고용과 투자 확대는 대기업 입장에서도 중장기 필수 전략이다. 고용과 투자 확대에 따른 대기업의 수혜는 다소 긴 호흡이 필요한 사안이라면 그에 따른 가계와 중소기업의 소득 또는 수익 증대는 당장 과실로 맺어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대로 내수 소비의 바로미터인 M2 증가율이 돌아설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KOSDAQ의 KOSPI 대비 상대 수익률 개선에도 크게 도움되리라 판단한다. 직전 정권의 친기업 성향 정책에 따른 낙수 효과는 결과적으로 기대에 못 미쳤다.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던 배당 증대 정책도 가계 소득 증대에 실효성이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대표적으로 배당이 크게 늘어난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의 경우 외국인 투자 비율이 높고 개인 투자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주식 시장 상승을 통한 부의 효과를 발생시켜 가계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KOSPI보다 KOSDAQ 시장의 활력이 더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새정부의 양극화 해소 방침은 KOSPI, 그리고 대형주 일변도의 상승장을 KOSDAQ 및 중소형주까지 확산시켜 그야말로 모든 사람이 즐길 수 있는 강세장으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정부 정책에 기댄다면 지금은 KOSDAQ 또는 중소형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