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새 정부 양극화 해소 정책, 코스닥·중소형주에 단비될까

등록 2017-06-11 11:57수정 2017-06-11 11:59

Weconomy | 곽현수의 차 한 잔
장하성 정책실장이 4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일자리 추경ㆍ소득 분배ㆍ양극화 해소와 관련한 대책을 발표하고있다.청와대사진기자단
장하성 정책실장이 4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일자리 추경ㆍ소득 분배ㆍ양극화 해소와 관련한 대책을 발표하고있다.청와대사진기자단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지 한 달이 지났다. “사람이 먼저다”는 구호는 현 정권의 향후 정책 방향을 보여준다. 주식 시장은 지난 수년간의 박스권에 대한 화풀이라도 하는 듯 5월에 이례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 새정부 출범과 함께 자산 시장에서는 “주식이 먼저”가 됐다.

새정부 출범과 함께 국민들은 우리 앞에 산적한 많은 사회 문제들이 해결되길 바라고 있다. 그중 양극화는 가장 심각한 사회 문제다. 기업과 가계 간 양극화, 가계 내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 세대간 부의 양극화 등은 지난 수년간 심화됐다. 대표 소득분배 지표인 지니계수(도시 2인 이상 가구, 시장 소득 기준)도 2009년 0.320을 기록한 이후 줄곧 낮아져 2015년에 0.305까지 떨어졌다가 작년에 0.317로 높아졌다. 중산층(중위소득의 50~150% 소득 구간 비율, 시장 소득 기준) 비율도 64.8%로 2011년 63.8% 이후 가장 낮다.

주식 시장에도 양극화 문제가 발생했다. KOSPI는 2231이라는 사상 최고치를 5월 들어 경신했다. 2300을 넘어선 지금 일부 증권사에서는 KOSPI 3000, 4,000을 주장하고 있다. KOSDAQ 시장의 분위기는 다르다. 연초 이후 6% 내외의 상승을 기록했지만 17%에 달하는 KOSPI 상승률에 비하면 아쉽다. 2015년부터 시작된 두 지수 간 양극화가 올 들어 더 두드러졌다.

[그림1. KOSDAQ 지수 상승률의 KOSPI 상승률 대비 상대 강도(1년 수익률 기준)]
자료: Thomson Reuters (※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양극화 해소는 새 정부의 핵심 의제 중 하나다. 이를 위한 정책들은 기대컨대 주식 시장에서도 양극화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고 판단한다. 그 이유는 M2(광의의 유동성)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에서 풀이해볼 수 있다.

모든 현상에는 원인이 있다. KOSDAQ 지수가 KOSPI 대비 부진했던 데도 이유는 있다. M2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이 핵심 변수다. KOSDAQ은 개인 투자 비중이 높은 만큼 국내 경기에 민감하다. KOSPI는 외국인 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대외 경기에 민감하다. 가계나 중소기업 등 국내 경기와 연관성이 깊은 경제 주체들의 체감 경기 또는 유동성 관련 중요 지표는 M2 증가율이다. 수출 비중이 높은 대기업에 중요 지표는 수출 증가율이다.

지난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레임덕과 국정 공백 사태가 지속되면서 국내 체감 경기는 악화일로였다. 올해 3월 M2 증가율(로그 기준)은 2015년 4월 5.3% 이후 최저인 5.7%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율은 반대다. 지난 2월 수출 증가율은 18.4%로 2011년 8월 22.7% 이후 최고치였다. 지난 2월 기준 M2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 차는 -12.7%로 2012년 -13.9% 이후 최고 격차를 기록했다. 이 결과가 KOSDAQ 지수와 KOSPI 간 수익률 차로 직결됐다.

[그림2. M2 증가율과 수출 증가율 차(X축)와 KOSDAQ 지수의 KOSPI 대비 상대 강도(Y축) 산포도]
자료: Thomson Reuters (※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업과 가계 간 양극화 해소 방법은 결국 대기업의 투자와 고용이다. 투자와 고용의 다른 이름은 상생이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새정부의 정책 기조에 동행할 필요성이 있고 상반기 수출 경기 개선도 투자와 고용 확대의 동기가 될 정도로 충분했다. 국내 유동성 확대에 따라 속된 말로 돈이 돌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투자와 고용 확대가 대기업 입장에서는 당장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소지가 있다. KOSPI 기업 순이익이 올해 사상 최대치를 재차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전년 대비 30% 내외의 순이익 증가가 기대된다. 속을 들여다보면 내실은 좋지 못하다. 매출 증대보다 매출 원가와 판관비 감소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이익 증가의 핵심 사유다. 투자 감소에 따른 매출 원가와 고용 축소에 따른 판관비 감소는 그야말로 불황일 때 나오는 행태들이다. 작년 KOSPI 내 기업들의 CAPEX(자본적 지출, 설비투자) 대비 현금 비율은 사상 최고인 91%에 달한 점은 이런 상황을 잘 보여준다. 기업의 태도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는 뜻이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매출 증대가 수반되지 않는 투자와 고용 확대가 자칫 수익성 훼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단기적으로 부담일 수는 있다. 길게 보면 다르다.

[그림3. 제조업 기업의 CAPEX 대비 보유 현금 비율(IFRS 별도 기준)]
자료: WiseFn (※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고용과 투자 확대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내수 소비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서 중도 또는 보수 성향의 정당이 집권당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처럼 극단적인 자국 실리주의 외교를 펴게 된다면 한국의 수출 전선은 중장기적으로 안심할 수 없다. 대기업의 고용, 투자 확대는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안정적인 시장인 내수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현명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안전판을 확보하는 셈이다. 자산 투자에 있어 절대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변동성 관리도 그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상기하면 내수 소비 성장의 밑거름인 고용과 투자 확대는 대기업 입장에서도 중장기 필수 전략이다.

고용과 투자 확대에 따른 대기업의 수혜는 다소 긴 호흡이 필요한 사안이라면 그에 따른 가계와 중소기업의 소득 또는 수익 증대는 당장 과실로 맺어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대로 내수 소비의 바로미터인 M2 증가율이 돌아설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KOSDAQ의 KOSPI 대비 상대 수익률 개선에도 크게 도움되리라 판단한다.

직전 정권의 친기업 성향 정책에 따른 낙수 효과는 결과적으로 기대에 못 미쳤다.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던 배당 증대 정책도 가계 소득 증대에 실효성이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대표적으로 배당이 크게 늘어난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의 경우 외국인 투자 비율이 높고 개인 투자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주식 시장 상승을 통한 부의 효과를 발생시켜 가계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KOSPI보다 KOSDAQ 시장의 활력이 더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새정부의 양극화 해소 방침은 KOSPI, 그리고 대형주 일변도의 상승장을 KOSDAQ 및 중소형주까지 확산시켜 그야말로 모든 사람이 즐길 수 있는 강세장으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정부 정책에 기댄다면 지금은 KOSDAQ 또는 중소형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