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5·31전남지사후보인터뷰] 서범석 열린우리당
서범석(55) 열린우리당 전남지사 후보는 “경제 살리기를 통해 10만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남에서 열린우리당 지지도가 오르지 않고 있는데.
=노무현 대통령이 한나라당에 연정을 제안한 것이 원인인 것 같다. 그러나 인재등용과 예산 배정에서 차별받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사회간접자본 투자가 가장 활발한 곳이 전남이다. 전임 도지사가 야당 출신이어서 정부 탓으로 돌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황우석 박사 유치 발상에 대해 “황당하다”는 평도 있던데.
=전남에 새로운 농업 활력을 찾는 방안의 하나로 제안했다. 논문조작 이전의 황 박사 연구 업적을 적극 살려보자는 것이다. 이 지역 대학에서 팀을 만들면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과 국가 발전에 모두 도움이 된다.
-교육부 차관 출신이어서인지 교육 관련 공약에 너무 치우친 느낌이 드는데?
=교육공약은 일부다. 첫번째 슬로건이 ‘경제와 복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 창출이다. 1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을 유치하겠다. 지방정부에서 농공단지 임대료를 대주거나, 국가산단을 사들이면 된다. 가만히 앉아서 기다리고 있으면 안된다.
-전남을 에듀토피아 만든다는 공약을 내세웠는데 구체적인 구상은?
=자립형 사립고교 확대에는 반대하지만, 시·군에 최소한 한곳씩 명문고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섬이나 외딴 곳에서도 컴퓨터만 켜면 서울 유명 강사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이(e)러닝’ 계획을 확대해야 한다.
-전남도의 친환경농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나?
=큰 방향은 맞다. 그러나 전남의 친환경농업 비율을 20~30%까지 올리기보다 기본을 튼튼히 해야 한다. 토질과 종자를 개선하는 등 농업토대를 바꿔야 한다.
-서남해안 관광레저도시 건설 계획(제이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나?
=어차피 추진해야 할 사업이다. 그런데 추진이 잘 안되고 있다. 전남도가 투자원금을 보장해주는 것도 문제다. 에프1(국제자동차경주대회)과 골프장, 카지노 중심의 ‘라스베가스식 개발’이 돼서는 안된다. 자연환경 살리면서 특색있게 조성해야 한다. 내국인 카지노 개설엔 반대한다. 정대하 기자
행시 출신…참여정부서 교육부 차관 지내 서 후보는 “민주당 박준영 후보가 실적없는 이미지 정치를 해왔다”고 대립 각을 세웠다. 그는 “처음엔 얼굴이 알려져 있지 않아 힘들었는데, 점차 격려해주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서 후보는 “여당 후보가 각종 대형 사업을 추진하는데 더 유리하다”며 “지역 발전을 위해 누가 필요한지를 유권자들이 선택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전남 광양 출신으로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 교육비서관을 지냈고, 참여 정부에서 교육부 차관을 역임했다. 서 후보는 ‘경제 전남, 인재 전남, 관광 전남’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있다. 2012년 북한과 공동으로 여수해양박람회를 개최하고 제이프로젝트를 추진해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을 △첨단물류권역 △해양레포츠권역 2개 핵심권역과 △고대역사권역 △다도해권역 △생태문화권역 3개 특화권역으로 나눠 개발할 구상도 갖고 있다. △친환경 실버타운 개발 △전남을 대표할 상징물 건설 △부지사급 여성정책관 신설 계획도 눈길을 모은다. 정대하 기자
행시 출신…참여정부서 교육부 차관 지내 서 후보는 “민주당 박준영 후보가 실적없는 이미지 정치를 해왔다”고 대립 각을 세웠다. 그는 “처음엔 얼굴이 알려져 있지 않아 힘들었는데, 점차 격려해주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서 후보는 “여당 후보가 각종 대형 사업을 추진하는데 더 유리하다”며 “지역 발전을 위해 누가 필요한지를 유권자들이 선택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전남 광양 출신으로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 교육비서관을 지냈고, 참여 정부에서 교육부 차관을 역임했다. 서 후보는 ‘경제 전남, 인재 전남, 관광 전남’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있다. 2012년 북한과 공동으로 여수해양박람회를 개최하고 제이프로젝트를 추진해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을 △첨단물류권역 △해양레포츠권역 2개 핵심권역과 △고대역사권역 △다도해권역 △생태문화권역 3개 특화권역으로 나눠 개발할 구상도 갖고 있다. △친환경 실버타운 개발 △전남을 대표할 상징물 건설 △부지사급 여성정책관 신설 계획도 눈길을 모은다. 정대하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