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전두환 사망날 세상 떠난, 5·18 생존자 빈소에 갔습니다

등록 2021-11-24 15:05수정 2021-11-25 00:11

[신문사진편지] #17
하반신 마비 후유증 시달리던 이광영님의 명복을 빕니다
24일 오전 광주 북구의 한 장례식장에 이광영씨의 빈소가 차려져 있다. 이씨가 22일 가족 앞으로 쓴 유서에는 ‘5.18에 원한도 없으려니와 작은 서운함들은 다 묻고 가니 마음이 홀가분하다’며 아버지께 가고 싶다고 적혀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24일 오전 광주 북구의 한 장례식장에 이광영씨의 빈소가 차려져 있다. 이씨가 22일 가족 앞으로 쓴 유서에는 ‘5.18에 원한도 없으려니와 작은 서운함들은 다 묻고 가니 마음이 홀가분하다’며 아버지께 가고 싶다고 적혀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민주화 투쟁의 열기 속에 행방불명된 이여! 이곳에 편히 잠드소서’

전두환 사망 이튿날 찾아간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 당시 행방불명된 이의 넋을 위로하는 묘비 너머 영암 삼호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비롯해 참배객들의 방문이 간간이 이어졌습니다.

전두환씨가 역사 앞에 끝내 참회하지 않고 세상을 떠난 다음 날, 여느 때와 다름없어 보이는 광주의 풍경입니다. 5.18 시민단체들도 전씨의 사망 당일 성명을 내어 “전두환은 죽더라도 5·18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며 “오월학살 주범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묻고, 대역죄인 전두환의 범죄행위를 명명백백히 밝혀 역사정의를 바로 세워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뒤 다른 말과 행동을 더하지 않고 있습니다. 거리 어딘가 내걸릴 법한 펼침막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드러내지 않는다고 아프지 않을까요? 소리치지 않는다고 그 고통이 지워졌을까요?

전씨가 숨진 23일 광주에서 또 다른 부음이 전해졌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총탄에 맞아 하반신이 마비돼 후유증에 시달리던 이광영(68)씨가 23일 오후 고향인 강진의 한 저수지에서 숨진 채 발견된 것입니다.

이씨는 “계속 아팠는데 요즘 통증이 더 심해지고 있다. 5·18에 대한 원한, 서운함을 모두 잊고 가겠다”라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련기사: “헬기사격 관통상 여학생 이송” 전두환 재판 증인 숨진 채 발견 www.hani.co.kr/arti/area/honam/1020534.html) 평생을 고통에 힘들어했다는 그가 영정사진 속에서 웃고 있습니다. 그 웃음을 보며 남은 자들에게 지워진 책임을 다시 생각합니다.

24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행방불명자 묘소가 마련되어있다. 광주광역시 5·18 보상법으로 인정한 행방불명자는 모두 84명으로, 이중 6명의 신원은 지난 2002년 5·18구묘역에서 신묘역으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확인됐고 지난 6월 5·18조사위가 신동남씨의 신원을 확인하면서 현재 77명이 실종 상태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행방불명자 묘소가 마련되어있다. 광주광역시 5·18 보상법으로 인정한 행방불명자는 모두 84명으로, 이중 6명의 신원은 지난 2002년 5·18구묘역에서 신묘역으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확인됐고 지난 6월 5·18조사위가 신동남씨의 신원을 확인하면서 현재 77명이 실종 상태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체험학습을 온 영암 삼호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참배를 하고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체험학습을 온 영암 삼호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참배를 하고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광주 북구의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이광영씨의 빈소에서 유가족이 슬퍼하고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광주 북구의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이광영씨의 빈소에서 유가족이 슬퍼하고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광주 북구의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이광영씨의 빈소에서 향이 피어오르고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24일 광주 북구의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이광영씨의 빈소에서 향이 피어오르고 있다. 광주/김혜윤 기자

광주/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800살 은행나무 ‘황금기’ 돌아왔다…기회는 단 2주 1.

800살 은행나무 ‘황금기’ 돌아왔다…기회는 단 2주

대구시국회의 “윤석열은 대통령직에서 손 떼고 퇴진하라” 2.

대구시국회의 “윤석열은 대통령직에서 손 떼고 퇴진하라”

김동연 “윤 대통령, 비서실 뒤에 숨지 말고 특검 수용해야” 3.

김동연 “윤 대통령, 비서실 뒤에 숨지 말고 특검 수용해야”

교수 사회, ‘윤 대통령, 공천개입 의혹’으로 시국선언 잇따라 4.

교수 사회, ‘윤 대통령, 공천개입 의혹’으로 시국선언 잇따라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5.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