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돼지는 똑똑해

등록 2019-01-03 09:06수정 2019-01-03 20:39

향이네 식탁
돼지. <한겨레21> 류우종 기자
돼지. <한겨레21> 류우종 기자
2019년은 ‘황금돼지해’라고 해요. 온갖 돼지 얘기가 새해 벽두부터 미디어를 도배하고 있군요. ‘돼지 풍년’입니다. 최근 농촌진흥청 자료를 보면 돼지의 아이큐가 개(60)보다 높은 75~85 정도라고 합니다. 그동안 우리는 돼지를 많이 오해하고 있었습니다. 돼지고기는 바싹 익혀 먹어야 한다는데, 기생충학자인 서민은 과거 인터뷰에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고 말한 적 있습니다. 1970년대 이후 축산업계의 청결도가 높아지면서 더는 돼지 몸에 기생충이 살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돼지고기는 회식 메뉴 1순위로, 우리의 쏘올 푸드가 된 지 오래입니다. 두루치기, 돼지갈비찜 등 우리네 식탁엔 다양한 돼지고기 요리가 많지요. 중국은 동파육이 대표적인 돼지고기 음식입니다. 동파육만 보면 중국인은 예부터 돼지고기를 즐겨 먹은 것 같지만, 아닙니다. 북송시대 기록물 <동경몽화록>을 보면 고급 식당엔 돼지고기와 소고기 요리는 없었답니다. 소는 농경사회에서 꼭 필요한 존재이니 이해가 가지만, 돼지는 왜였을까요? 고관대작도 안 먹고, 서민도 즐기지 않았다고 해요. 가격도 매우 쌌다고 합니다. 궁금해집니다. 송나라 때 자료엔 ‘고양이 먹이로 돼지고기 순대를 팔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해요. 그 얘기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는 사람이 먹기엔 너무 비천하고 보잘것없는 먹을거리라는 얘긴 거죠.

어찌 됐건 2019년에도 돼지고기 사랑은 쭉 이어질 듯합니다. 중국의 매운 향신료 화자오로 버무린 알싸한 돼지고기 요리도 곧 식당에 등장할 거 같습니다. 화자오를 넣은 중국의 마라탕이 지금 서울뿐만 아니라 부산까지 대세 음식으로 뜨고 있다는군요. 그래서 ESC가 준비했습니다. 가볼 만한 마라탕집, ‘마라에 미친 이들’(?)이 꾸린 ‘범마라연대’ 얘기를요.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마라요리 방법도 소개합니다. 뜨겁고 매운맛으로 2019년을 신나게 시작해보시길.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밸런타인데이, 한 커플 뽑아 에버랜드 ‘하룻밤 무료 전세’ 준다 1.

밸런타인데이, 한 커플 뽑아 에버랜드 ‘하룻밤 무료 전세’ 준다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746자 2.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746자

이 정도는 괜찮아, 호텔은 안 알려주는 ‘슬기로운 이용팁’ 3.

이 정도는 괜찮아, 호텔은 안 알려주는 ‘슬기로운 이용팁’

[ESC] 남향집만 좋은 걸까? ‘북향집’의 장점도 있답니다 4.

[ESC] 남향집만 좋은 걸까? ‘북향집’의 장점도 있답니다

너희가 ‘총무’를 아느냐 5.

너희가 ‘총무’를 아느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