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뽀짝

등록 2018-03-08 09:22수정 2018-03-08 09:37

[ESC] 알면 쓸데 있는 신조어사전

국어사전에는 ‘바싹’의 전라도 사투리라고 돼 있다. ‘바싹 마르다’, ‘바싹 붙지 마’가 전라도에선 ‘뽀짝 마르다’, ‘뽀짝 붙지 말랑게’가 된다. 그런데 팬덤 문화에서는 다른 형용사에 붙어 강조하는 의미를 갖는다. ‘○○○의 깜찍뽀짝한 사진을 꺼내 본다’에서는 매우 깜찍하다는 뜻이다. 상큼뽀짝, 큐티뽀짝 등으로 쓰이는데 실제 대화보다는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글에서 주로 쓴다. 예부터 글에만 쓰는 문어체와 일상 대화의 구어체 등 말과 글이 분리된 불일치가 있었다. 요즘은 글로 쓰는 구어체가 더 많이 생겨 언어생활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한국트렌드연구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손가락 줌’과 이별하고 ‘멀티 카메라’ 200% 활용하기 2.

‘손가락 줌’과 이별하고 ‘멀티 카메라’ 200% 활용하기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3.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ESC] 방패연의 구조 4.

[ESC] 방패연의 구조

‘이탈리아판 미슐랭’이 뽑은 ‘국내 이탈리안 레스토랑 9’ 5.

‘이탈리아판 미슐랭’이 뽑은 ‘국내 이탈리안 레스토랑 9’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