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설 국민청원, 나도 올려볼까?

등록 2018-02-19 09:54수정 2018-02-19 10:01

[향이네 식탁]
최근 소셜네트워크 빙글(vingle)을 보다가 재밌는 글을 발견하고는, 한국에 대한 외국인의 한 가지 공포(?)를 알게 됐어요. ‘한국에서는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에요’(Koreans add a year as soon as babies are born).

‘미드에 겁나게 나온다는 단골표현 600개’란 제목의 글 안에 있더이다. 그저 배시시 웃었어요. 한국식 나이 셈법이 외국인들에겐 신기하거나 황당하거나 심지어 무섭기까지 한 듯해 웃음이 났죠.

그걸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서 보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불편한 나이 셈법을 만 나이로 통일합시다’ ‘한국식 나이 폐지’ 등 120개 넘는 청원들이 올라와 있더군요. 살짝 웃다가 청원 이유를 읽고는 고개를 끄덕였어요. 익숙했던 그 셈법엔 다소 심각한 사회적 마찰이 숨어 있더군요. 나이에 집착하게 해 ‘꼰대문화’ ‘서열지상주의’를 조장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시대에도 맞지 않는다’는 의견들은 지나친 과장이나 경계로 보이지 않았어요.

예전 대기업에서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한 이의 경험담이 생각났습니다. 첫 회사 행사에서 아무도 나이, 전공 등을 묻지 않더라는 겁니다. 대신 취미, 많이 다닌 여행지, 최근 본 영화 등만 물어 다소 당황했다고 했어요. 그도 처음 만난 동료를 파악하기 위해선 상대의 얘기에 더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요. 결과적으로 더 친근해졌고, 이후 업무를 분담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됐다고 해요.

이렇게까지 생각이 미치자 국민청원 누리집을 더 살피게 됐어요. 중요한 국가적 사안에 대한 청원도 있지만 피식 웃게 하는 위트 넘치는 것들도 많더이다. 며느리를 명절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달라는 취지의 청원도 발견했어요. 설 연휴를 맞아 ESC가 생활형 박장대소 청원들을 모아봤습니다. 독자님도 고소한 전 한 점 드시면서 ‘나라면 어떤 청원을 해볼까’ 한번 생각해보시죠.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밸런타인데이, 한 커플 뽑아 에버랜드 ‘하룻밤 무료 전세’ 준다 1.

밸런타인데이, 한 커플 뽑아 에버랜드 ‘하룻밤 무료 전세’ 준다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2.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동료와 땀 흘리며 자극도 팍팍…힘든 운동, 함께라면 할 수 있어 [ESC] 3.

동료와 땀 흘리며 자극도 팍팍…힘든 운동, 함께라면 할 수 있어 [ESC]

[ESC] 남향집만 좋은 걸까? ‘북향집’의 장점도 있답니다 4.

[ESC] 남향집만 좋은 걸까? ‘북향집’의 장점도 있답니다

결혼 만족스러운데 옛 ‘남친’이 꿈에 나와요 5.

결혼 만족스러운데 옛 ‘남친’이 꿈에 나와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