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사랑, 변해야 진짜 사랑이지

등록 2018-01-03 19:58수정 2018-01-04 11:12

[ESC] 곽정은의 '이토록 불편한 사랑'

픽사베이
픽사베이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두고두고 회자되는 영화 <봄날은 간다>의 대사다. 거침없이 서로에게 빠져들었지만 서서히 삐걱거리는 관계, 상우(유지태)는 은수(이영애)에게 슬픔과 분노가 가득한 표정으로 이렇게밖에는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언제까지고 함께하고 싶고, 상대도 나와 같은 마음이길 바랐지만 상대는 나만큼은 나를 원하지 않는다는 걸 깨달았을 때의 그 허탈함이란 여러 번을 겪어도 쉽게 무뎌지지 않는 어떤 것이니까.

지난주에 강연을 하러 갔던 학교에서 한 학생이 내게 질문을 던졌다. 매번 반년 정도면 연애가 순식간에 끝나 버리는데, 오래갈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질문은 더없이 간단하게 보였지만 누구를 만나도 비슷한 시기, 비슷한 방식으로 헤어졌던 사람의 피로감이 느껴지는 질문이었다.

반년, 그 말을 들으니 영화 속 은수와 상우도 겨울에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다음 해 여름이 되어 헤어졌단 게 생각났다. 호감과 호기심이 만들어낸 사랑의 감정이 위기를 맞이하는 건 대단히 새로울 것도 없는 일이지만, 계절이 두번 변할 그 언저리에서 우리는 이 관계를 계속할지 말지의 기로에 많이 서게 되는 것 같다. 자신들도 모르게, 일종의 ‘중간평가’를 하게 되는 것이랄까. 시기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이 모두 긍정적 평가를 내리지 않는 이상 관계는 종료의 수순을 밟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어째서 내 연애는 늘 6개월 언저리에서 끝나는가’라고 물었던 그는, 늘 그 언저리에서 상대방과 계속 갈지 말지를 가늠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상대방이라고 그 느낌을 모르지 않는다. 머뭇거리며 뒤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날들에 대해 미적거리는 그 태도는 의외로 읽히기 쉽기 때문이다. 미적거리는 두 사람이, 예전 같지 않을 것은 뻔한 일 아닐까?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상호간 중간평가를 한번쯤 잘 통과했다고 해서 그 관계가 계속 잘될 거라는 보증은 누구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관계를 시작하는 것보다 관계를 지켜나가기가 더 어렵고 버거운 것은 우리들 스스로가 고정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일 거다. 몸, 감정, 생각, 둘러싼 환경들까지.

영화 <봄날은 간다>. <한겨레> 자료 사진
영화 <봄날은 간다>. <한겨레> 자료 사진
인지하고 있지 못할 뿐 우리는 매일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 중이고 그래서 관계를 지키는 일은 시간이 간다고 해서 더 수월해지기 힘들어지는지도 모른다. 한 사람을 2년간 만나고도 서로를 이해할 수 없어 온 전력을 다해 공격하기 바빴고 그래서 무참히 이별을 맞았던 그해에, 나는 인도까지 날아가 명상 지도자를 찾아가 물었다. 왜 우리는 처음의 뜨거운 마음을 잊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 바쁜 존재가 되어가는지를. 그는 대답했다.

“누군가에게 처음 사랑에 빠질 때, 우리는 지극히 피상적인 이유들로 그 사람을 선택하게 됩니다. 외모가 멋지거나 배경이나 경제력이 훌륭해서, 혹은 나에게 잘해주기 때문에, 혹은 남들 다 연애하고 결혼하니까 나도 안 하면 안 될 것 같은 불안감에 선택을 하죠. 그러나 그게 문제는 아닙니다. 그렇게 만나도 돼요. 다만 두 사람이 만나는 이유가 그것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시간이 가면 상대의 외모나 경제력, 나에게 잘해주는 정도, 나의 불안감은 처음과 달라지게 마련이기 때문이죠. 더 조건이 좋은 사람이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고요.”

그는 그 관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한 동지의식, 존중, 상대방의 행복을 내 행복과 동일하게 존중할 수 있는 상태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애초에 서로에게 빠지게 만든 그 이유들만 생각하며 왜 처음과 같지 않으냐, 왜 처음처럼 나를 아껴주지 않느냐 따져 묻는다 했다. 점점 안정된 사랑으로 변해가기 위해서, 관계가 단단히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처음의 그 이유들’, 두 사람이 함께 탄 첫번째 배를 버리고 더 좋은 배로 함께 갈아타야 한다는 걸 모르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배에 올라탔다 탈출하는 일을 반복하게 될 뿐이다. 고단한 인생이, 어리석은 사랑 때문에 더 고단해지는 것이다.

사랑이 어떻게 변하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나는 이제 그렇게 말한다. 사실 사랑은 변해야 한다고. 상대방에게 귀 기울이고, 마음을 알아주며, 상대방의 독립성을 존중하고, 상대의 행복을 위해 ‘애쓰지 않는 관계’는 당장 내일이라도 끝날 수 있는 무엇일 뿐이라고.

하지만 이렇게 다 알고 설명까지 할 수 있다 해서 사랑이 쉽겠나. 십수년 했던 직장생활의 모든 고통을 합친 것보다, 내 마음을 전달하고 사랑을 지켜내는 것이 천만배쯤 힘들다. 그런데 직장에 돌아가고 싶은 생각은 1g도 없지만 이 사랑만큼은 계속 하고 싶은 걸 보면 ‘사랑 참 뭔가’ 싶으며, 그걸 지켜낸다는 건 ‘또 대체 뭔가’ 싶은 것이다. 2017년, 사랑 때문에 힘들었던 누구에게라도 이 글을 통해 한 조각의 위로가 전해지기를. 올해에는, 더 좋은 사랑들을 하시기를.

곽정은 작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