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부유함에 대해서는 쉽게 상상하면서 가난의 실체에 대해서는 모른다. 잘 모르면서 그냥 너도나도 가난하다고만 여긴다. 티브이 속 누군가처럼 내 욕망만큼 가질 수 없다는 이유로 자신을 빈곤층으로 분류한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나는 1인 가구다. 당연하다. 이 글이 실릴 지면은 ‘이런 홀로’이고, 1인 가구인 필자들이 혼자 살면서 느낀 것을 쓰는 코너다. 1인 가구는 아이가 있는 가정의 일상을 잘 모른다. 아마 결혼 후 출산, 육아라는 궤도 위에 사는 사람들 역시 1인 가구에 대해 잘 모를 것이다. 본인도 결혼 전에는 비혼이고 혼자 사는 사람이었음에도, 현재 진행형인 남의 삶에 대해서는 상세히 모르는 게 당연하다. 그런데 모르면서 다 안다고 생각하니까 문제다. 이 이야기를 왜 이렇게 길게 했느냐면, 나 역시 남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내 입장에서 생각한 것을 글로 썼다가, 나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에게 훈계를 받았기 때문이다.
사정은 이러하다. 얼마 전 나는 내가 쓴 에세이에 대해 비난하는 독자의 메일을 받았다. 필자에게 메일을 보내는 것은 댓글 하나 적는 것보다 훨씬 번거로운 작업이다. 해당 필자의 메일 주소를 알아내 ‘당신 글에서 이러이러한 문장은 사실 틀렸고, 나는 기분이 나빴다’며 리뷰를 써 보내는 것은 엄청난 열성이 없으면 못 한다.
내가 쓴 글은 이러한 내용이었다. 나는 한평생 서울 아파트를 매입할 가능성이 없는 사람이다. 그리고 다수의 서민이 그러하다고 생각했다. 산책길에 동네 부동산 앞을 지날 때면 10억원을 호가하는 아파트 가격을 적은 숫자들을 본다. 그럼 정말 순수하게 놀라서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와, 사람들은 저 돈이 다 있는 거야? 부자다!” 동네 아파트의 가격을 알게 되자 아파트 출입문을 오가는 사람들조차도 부유해 보였다. 실은 한동네 사는 평범한 주민일 뿐이고, 그들 역시 자신을 부유하다 여기지 않을 텐데도 내 눈에는 서울 아파트에 거주한다는 것만으로 자산가로 보였던 것이다. 그러니까 ‘부’에 대한 기준이야말로 상대적이라, 지방에서 상경해 몇천만원도 쥐어본 적 없이 월셋집을 전전하는 내 눈에는 수십억원 아파트를 가진 사람들이 신기하기만 하다.
나에게 아파트란 머나먼 우주의 무언가다. 그래서 제일 관심 없는 뉴스도 부동산, 그중에서도 아파트 가격 폭등 뉴스다. 사실 2021년 한국에서 아파트라는 명사 앞에서는 같은 정치 성향을 가진 사람들조차도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에 여기에 이런 글을 쓰는 것조차 위험하다. 세법과 부동산 정책 등에 있어서는 저마다 전문가이고, 다들 자기 위치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목소리를 내기 때문에 나와 같은 ‘알못’은 섣불리 말을 얹지 않는 것이 좋다.
어쨌든 수도권의 아파트라는, 매우 한정된 자산에 대해서 전국민의 관심사인 것처럼 뉴스가 나오자 나는 현재 서울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거나 미래에 구입할 예정인 사람들이 이토록 많은 것인가 고개를 갸우뚱했다. 20~30대가 영혼까지 끌어모아 아파트를 사재기한다거나, 종부세로 신음하는 집주인들에 대한 뉴스가 헤드라인을 차지하니 종내에는 ‘기자들의 관심사만 뉴스로 나오나’ 하는 마뜩잖은 음모론마저 떠올랐다. 그렇지 않고서야 다수에게 더 필요하고 시급한 정책이나 지원에 대해서는 한 줄도 없는데 부동산 뉴스만 쏟아지는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이런 생각들을 주절주절 썼는데 그 글이 독자의 분노를 유발한 것이다.
내게 항의글을 보낸 독자는 서울에 아파트를 가지고 있지만 세금만 올라 사는 게 팍팍해 죽겠는데 잘 알지도 못하면서 글을 써재낀 필자에게 꼭 한마디 해줘야겠다 마음먹은 모양이었다. 독자의 항의 내용은 이러했다. 아파트가 있는 사람은 다 부자라고 썼던데, 거주 중인 아파트 가격이 너무 올라 세금을 카드 할부로 내는 게 얼마나 힘든 줄 아느냐. 보아하니 결혼을 안 한 것 같아서 한마디 더 하자면, 한국에서 아이 교육비가 얼마나 많이 드는 줄 아느냐. 학원 하나 보내는 데 30만원이 넘는다. 다른 집 애들은 학원을 몇개나 다니는데, 우리 집은 부모가 공부해 아이들을 가르치는 형편이다. 집은 오래됐는데 도배도 못 하고 사는데 그게 어디 부자냐는 것이었다. 독자의 분노가 내 뺨을 철썩철썩 치는 것 같았다.
아파트의 빛바랜 벽지에 둘러싸여 한숨을 쉬며 한달 생활비를 요리조리 계산하는, 그의 매우 ‘구체적인’ 삶을 나는 그려보았다. 아이 학원비를 걱정해본 적은 없지만 그 역시 쉬운 삶은 아닐 것이다. 독자는 ‘당신의 글 때문에 상처받았다’고 썼다. 아파트 소유를 비난한 것도 아니고 그냥 부자처럼 느껴진다 했을 뿐인데도. 나는 함부로 쓴 것이 미안했다. 물론 미혼 같으니 더 알려줘야겠다며 아이 교육비 이야기를 꺼내지 않았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그 문장에서는 결혼을 안 한 당신은 아직 세상을 다 모른다는 속뜻이 읽혔다. 나 역시 그의 삶을 모르지만, 그 역시 나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가르치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 거기다 “요즘 중국 바이러스 때문에 더 힘들다”는 말이 없었더라면 나는 아마 그의 상황에 한층 이입이 되어 자책감에 괴로웠을 것이다.
<능력주의와 불평등>(교육공동체 벗 펴냄)의 ‘현수는 개인의 능력으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라는 글에는 학습 부진아 현수의 사례가 언급된다. 초등 교사로 일하는 정용주 필자는 “현수의 가방에서는 바퀴벌레가 나온다. 머리에 이가 있는 경우는 있어도 어떻게 그런 일이 있느냐고 묻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현수의 집을 방문해 보면 의문이 사라진다”고 썼다. 영구임대아파트에서 6명의 가족이 함께 사는 아이의 집에는 개인적 공간이 없고 물건이 도처에 쌓여 있다. 세습되는 가난의 실체가 손에 잡히듯 그려진다. 꼭 임대아파트에 6인이 살아야만 빈곤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부유함에 대해서는 쉽게 상상하면서 가난의 실체에 대해서는 모른다. 잘 모르면서 그냥 너도나도 가난하다고만 여긴다. 티브이 속 누군가처럼 내 욕망껏 가질 수 없다는 이유로 자신을 빈곤층으로 분류한다. 실제로 한 증권사가 내놓은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 고소득층의 20%, 중산층의 80%가 자신을 빈곤층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부의 기준이 상향되어 있어서 자신은 거기에 미치지 못한다 여기는 것이다. 가난은 자신에게 대입될 때에만 더욱 부풀려진다.
그러고는 그 분노를 나와는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표출해버린다. 지역, 세대, 성별, 자원, 환경, 계급에 따라 삶의 방식이 다 다를 뿐인데, 나와 다른 것을 비정상이거나 미성숙한 것으로 쉽게 평가하고 혐오의 대상으로 점찍는다. 나는 당신이 아니고 당신은 내가 아닌데도 상대에 대해 다 아는 것처럼 말한다. 그렇게 독자의 분노는 내 뺨을 두번 후려쳤다. 내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쓴 글이 누군가에게는 상처가 됐구나(철썩), 근데 이 사람도 나에 대해 모르면서 왜 함부로 훈계하지?(철썩). 어찌 되었든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낯모르는 글쓴이에게 구구절절 보낸 독자 덕분에 나는 한국의 사교육비에 대해서 고심하게 되었…을 리는 없고, 그냥 누구나 다 각자의 무게를 이고 지고 살고 그러니 쉽게 아는 척하면 안 된다는 것을 배웠다. 우리는 내가 아닌 사람에 대해 알 수 없다. 그 사람으로 살아보지 않았으니까. 하지만 가닿아보려 노력해볼 수는 있을 것이다. 다들 자기의 무게를 버텨내며 어렵게 살 수밖에 없는 세상이니까. 그리고 꼭 누구를 비난해야만 내가 더 살 만해지는 건 아니니까.
늘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