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재단이고 돈이고 다 필요없어요. 제대로 된 일본 사죄 받고 싶어요”

등록 2016-07-28 18:31수정 2016-07-28 22:46

정부 ‘화해·치유 재단’ 발족 강행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정부 비판
정대협 등도 재단 강행 강력 반발
위안부 지원 재단인 화해 ·치유재단이 공식 출범하는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바비엥 스위트에서 김태현 이사장,(오른쪽 세 번째) 윤병세(왼쪽 세 번째) 외교부 장관,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위원들이 현판 제막식을 하고 있다.공동취재사진
위안부 지원 재단인 화해 ·치유재단이 공식 출범하는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바비엥 스위트에서 김태현 이사장,(오른쪽 세 번째) 윤병세(왼쪽 세 번째) 외교부 장관,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위원들이 현판 제막식을 하고 있다.공동취재사진
“정부가 만든 재단이고 뭐고 다 필요 없어요. 우리는 제대로 된 일본의 사죄를 받고 싶은 거지, 시시한 돈 몇 푼을 받고 싶은 게 아닙니다. 대통령이 우리들의 이런 뜻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게 아닌가요. 어떻게 이렇게까지 재단을 몰아붙일 수가 있는 겁니까.”

정부 주도의 ‘화해·치유 재단’이 공식 출범한 28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90) 할머니는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이렇게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서울 마포구에 있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쉼터에서 페이스북 중계를 통해 재단 기자회견을 지켜봤다는 김 할머니는 “수십년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쌓아온 성과를 정부가 단번에 허물고 있다”며 허탈해했다. 대구에 머물고 있는 이용수(89) 할머니는 “어차피 화해·치유 재단은 우리의 길이 아니니까, 우리가 가던 길로 가자”며 애써 마음을 다잡았다.

정대협과 나눔의 집 등을 비롯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단체들은 이날 ‘위안부’ 피해자들의 뜻을 무시한 채 정부 주도로 재단이 출범한 데 대해 크게 반발했다. 특히 이들은 이날 김태현 재단 이사장이 ‘나눔의 집’을 방문한 사례를 언급하며 ‘재단 설립에 찬성하는 피해자가 있다’고 주장한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이날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6월28일에 김태현 이사장 등이 인사차 왔는데, 당시 이옥선(90) 할머니가 12·28 합의는 잘못됐다고 분명히 말했다”며 “김 이사장이 ‘역대 정부가 못 한 일을 이번 정부가 잘한 일이다. 일본이 범죄 사실을 인정하니까 보상을 하는 게 아니겠느냐’는 등의 말을 했는데, 이는 피해자들에 대한 공감과 인권의식도 무시된 발언이었다”고 꼬집었다.

대학생 십 여 명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바비엥에서 예정된 ‘화해치유재단 출범 이사장 기자간담회‘를 앞두고 간담회장을 기습적으로 점거해 12.28 한일밥의 무효를 주장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이들은 곧 경찰에 의해 연행됐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대학생 십 여 명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바비엥에서 예정된 ‘화해치유재단 출범 이사장 기자간담회‘를 앞두고 간담회장을 기습적으로 점거해 12.28 한일밥의 무효를 주장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이들은 곧 경찰에 의해 연행됐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정대협을 비롯해 평화의 소녀상 전국연대, 평화나비네트워크 소속 활동가와 재단 설립을 반대하는 시민 50여명은 이날 오전, 화해·치유 재단 현판 제막식이 열린 서울 중구 순화동 바비엥Ⅱ 앞에 모여 재단 출범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의 손에는 별세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사진이 들렸다. 위안부 문제를 최초로 증언한 고 김학순 할머니를 비롯해 고 강덕경·강순애·김순덕·황금주 할머니와 생존한 길원옥(88), 김복동(90), 이옥선(90) 할머니의 증언이 한 시간 넘게 거리에 울려 퍼졌다. “이렇게 해서 역사에 뭘 남길 건가요. 일본이 죽도록 사과해도 시원찮은 판에 우리가 억울하고 서러워서 어떻게 살아요. 더러운 돈 다 필요 없어요. 진정으로 사죄하라 이겁니다. 내 청춘을 돌려주세요.” 고 황금주 할머니의 생전 절규는 한 학생의 목소리를 통해 거리에 울려 퍼졌다.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화해와 치유는 돈으로 되는 게 아닌 만큼 시민 참여로 만들어지는 ‘정의기억재단’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1.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2.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3.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4.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5.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