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는 난색 표명
부산이 고향인 김규혁(26)씨는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닌다. 2012년 19대 총선 때는 대학 안에 설치된 부재자 투표소에서 투표를 할 수 있었다. 김씨는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부산이기 때문에 포기할까 생각도 했었는데, 학교 안에서 편하게 투표할 수 있었다”고 했다. 투표소 추가 설치를 위해서는 신청인이 ‘2000명 이상’이어야 한다. 19대 총선 당시엔 전국 29개 대학에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됐었다.
그러나 김씨는 이번 6·4 지방선거 투표를 대학 안에서 할 수 없다.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사전투표제가 걸림돌이 됐다. 기존 부재자 투표소는 시·군·구별로 설치됐다. 반면 사전투표소는 읍·면·동에 설치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 접근성’이 충분히 높아졌기 때문에 대학교 등에 투표소를 따로 설치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김씨는 “사전투표 역시 학교에서 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젊은이들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21일 김씨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젊은 유권자들이 ‘대학 내 사전투표소 설치’를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요구했다. 한국청년연합과 서울지역대학생연합 등이 참여한 ‘6·4 지방선거 청년유권자 네트워크’는 이런 의견을 담은 서한을 서울시선관위에 전달했다. 이들은 “유권자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도입된 사전투표제가 오히려 젊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많은 예산을 들여 사전투표소를 홍보할 것이 아니라 대학 내 투표소를 설치하는 것이 적은 예산으로 청년 유권자의 참여를 높이는 방법”이라고 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선거가 2주밖에 남지 않아 예산 추가 집행이 어렵고 공직선거법을 개정해야만 대학 내 사전투표소를 설치할 수 있다”며 설치 불가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청년유권자 네트워크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면 재학생이 1만5000명 이상인 서울 소재 10개 대학만이라도 설치를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재욱 기자 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