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 특별합동 위생점검을 벌이고 있는 식약청과 교육청 관계자가 29일 오전 이화여고 급식실에서 영양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김경호기자 jijae@hani.co.kr
부산 공동구매단 꾸려 값싸고 위생적으로 공급
재료 절반 ‘친환경’ 규정-도농 직거래 본받을만
재료 절반 ‘친환경’ 규정-도농 직거래 본받을만
‘학교 밥’이라고 해서 다 같은 ‘학교 밥’이 아니다. 며칠씩 배를 타고 와서 몇 단계 유통과정을 거친 수입 농산물로 차린 밥을 먹는 학생들이 있는가 하면, 인근에서 생산된 신선한 친환경 먹거리로 점심을 먹는 학생들도 있다. 어느 지역 학교에 다니느냐에 따라 이렇게 갈린다. 학교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려면 직영급식 전환과 함께 식재료 공급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급식재료 공동구매, 생산자 직거래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은 지난해부터 급식재료 공동구매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인근 학교 3~5곳이 공동구매단을 꾸려 급식 재료를 한꺼번에 사는 방식이다. 공동구매단은 학교 행정실장·영양사 한 명씩과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추천한 학부모 13명 등 15명으로 구성된다. 공동구매단이 직접 업체를 방문해 위생상태와 품질 등을 따져 납품업체를 고른다.
김순례 부산시교육청 급식담당 사무관은 “공동구매를 통해 값싸고 질 좋은 급식재료를 살 수 있어 급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식자재 비용이 줄어든만큼 친환경 농산물 사용도 꾸준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올해 3월에는 전국에서 최초로 ‘학교급식 지원센터’를 설립해 공동구매 매뉴얼 보급, 표준식단 제공, 식재료 규격 표준화 등 체계적인 학교급식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
시민단체인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부산시민운동본부’는 도-농간 식자재 직거래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경남 지역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들이 영농조합법인을 만들어 학교에 급식재료를 납품하는 방식이다. 이달부터 초등학교 5곳에서 시범운영이 시작됐다.
2003년 광역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학교급식 조례를 제정한 전남은 올해 예산 287억여원을 확보해 도내 학교 급식재료 가운데 절반 이상을 친환경 농산물로 공급하고 있다. 내년에는 모든 식재료를 친환경 농산물로 장만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전남은 친환경 농산물을 현물로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으며, 현물 지원이 어려우면 친환경 농산물 사용을 위해 추가로 드는 비용을 현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친환경 학교급식의 메카’로 불리는 전남 나주에서는 ‘나주농협 연합사업단’을 친환경 학교급식 공급업체로 선정하고, 친환경쌀 생산단지와 식재료 생산 시범단지를 지정해 생산농가를 지원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올해 전체 학생의 30%에게 친환경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0%로 시작해, 내년에는 모든 학생에게 친환경 우리 농산물 식재료로 급식을 할 계획이다. 급식사업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납품 자격을 농협과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 친환경 생산자단체로 제한했다. 진희종 ‘친환경 학교급식 제주연대’ 사무처장은 “아이들이 먹는 급식만큼은 가장 질 좋은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 아래, 공공성의 원칙에 따라 친환경 급식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종규 박주희 기자 jk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