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오전 대장동·위례신도시 개발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에 들어서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으로 한 차례 검찰 조사를 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차 조사를 받겠다는 입장을 30일 밝혔다. 대장동 사건은 ‘배임과 로비’ 양 갈래로 진행됐는데, 이 대표 2차 조사를 끝으로 배임 의혹 수사는 마무리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반면 로비 의혹을 둘러싼 ‘50억원 클럽’ 수사는 여전히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검찰은 앞서 28일 이 대표를 불러 12시간 반가량 조사한 뒤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며 2차 출석조사를 요구했다. 이에 이 대표 쪽은 “검찰이 같은 사안을 반복적으로 묻는 등 의도적으로 조사를 지연했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그러나 이 대표는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결국 제가 부족해서 대선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그 대가를 치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모욕적이고 부당하지만 (대선의) 패자로서 오라고 하니 또 가겠다”고 말했다. 검찰의 재소환 요구를 대선 패배에 따른 ‘정치 보복’으로 규정하는 한편, 향후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등 판단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한 메시지로 읽힌다.
검찰은 이 대표 2차 조사를 끝으로 ‘대장동 본류 사건’(배임·이해충돌법 혐의 등) 수사를 사실상 마무리할 전망이다. 검찰은 김만배·유동규·남욱 등 대장동 민간사업자들과 김용·정진상 등 이 대표 측근 그룹을 이미 재판에 넘긴 상태다. 대장동 사업의 ‘최종 결재권자’인 이 대표 조사와 처분만 남겨둔 셈이라 1년4개월 동안 이어진 검찰 수사는 곧 막을 내리고, 혐의 입증을 둘러싼 공판 과정이라는 2막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에 비해 대장동 수사 초반 뜨거운 감자였던 ‘50억원 클럽’ 의혹 수사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2021년 9월부터 시작된 대장동 수사는 배임 의혹과 로비 의혹 등 양 갈래로 진행됐는데, 로비 의혹은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을 제외하곤 이렇다 할 진전이 없는 셈이다. 대장동 민간사업자 쪽으로부터 아들 퇴직금 등 명목으로 50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곽 전 의원의 1심 선고공판은 내달 8일 열릴 예정이다.
곽 전 의원을 제외한 ‘50억 클럽’ 수사는 진전이 없는 상태다. ‘정영학 녹취록’에 ‘50억원 클럽’으로 거론된 이는 박영수 전 국정농단 특검과 홍선근 머니투데이 그룹 회장, 권순일 전 대법관 등이다. 검찰은 이들의 수사 진척을 묻는 질문에는 “제기된 의혹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진행되는 상황을 차분히 지켜봐달라”는 원론적인 답변만 되풀이하고 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대장동 수사팀은 지난해 말 수원지검에서 박 전 특검 자녀의 주택법 위반 의혹과 홍 회장 청탁금지법 위반 사건을 넘겨 받았는데, 이를 계기로 ‘50억원 클럽’ 수사가 재점화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부장검사 출신 한 변호사는 “대장동 사건은 수사팀이 바뀌면서 변곡점을 맞았다. 대장동 일당과 50억원 클럽으로 향하던 관심이 이 대표 쪽으로 옮겨졌다. 검찰은 본류 배임 사건을 우선 마무리한 뒤 남은 의혹인 50억원 클럽 수사에 매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현수 기자
boyso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