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왼쪽)과 홍석철 위원(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이 8월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이 이제는 코로나19 비상 대응 체계에서 일상 대응 체계로 전환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현지시각)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의 끝이 보인다”고 말하며 낙관적 평가를 내놓은 바 있다.
정 단장은 16일 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WHO 사무총장이 코로나19 대유행의 끝이 보인다고 했다. 대유행의 끝은 코로나19의 종식이 아니라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또 계절에 따라 에피데믹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며 “유럽과 미국 등 많은 나라가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 실내마스크를 해제했고 이후 큰 대유행 없이 잘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확진자와 치명률 추이를 본다면 이들 나라와 같이 일상적 대응체계 전환에 대해 논의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단장은 낮아진 치명률도 일상 대응체계 전환의 근거로 들었다. 202년 초기 코로나19 치명률은 0.21%였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치명률은 0.04%까지 낮아진 상태다.
정 단장은 6개월 정도 뒤면 일상 대응 체계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정 단장은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에 대한 종식이 이어질 때 우리나라만 뒤처져서는 안 되겠다. 우리나라는 교역으로 국민의 부의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나라이기 때문에 세계 추세에서 떨어졌다가는 그만큼 늦어지게 된다”며 “그래서 이에 대한 출구 전략 준비를 지금부터 해나가야 한다. 앞으로 6개월 정도 뒤면 본격적으로 그런 활동이 재개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독감과 코로나19 동시 유행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가 재유행에 대비해 탄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단장은 “완화 전략의 시기, 속도, 정도를 논의하되 지금까지 잘해온 방역의 기조가 흐트러져서는 안 된다”며 “이번 겨울에 예상되는 7차 유행이 오더라도 일상이 흔들리거나 국민이 피해 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