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수험생 학부모들이 2013년 11월10일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메가스터디 2014 대입 최종지원 전략설명회’에 참석해 배치표를 살펴보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광복 1945, 희망 2045] 다시, 교육부터
교육갈등 접점 찾기 ①
보수층도 부정적 인식 절반 넘어
“교육은 낙오자 없도록 하는것” 67%
교육갈등 접점 찾기 ①
보수층도 부정적 인식 절반 넘어
“교육은 낙오자 없도록 하는것” 67%
<한겨레>가 지난 8~9일 실시한 교육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자사고·특목고의 폐해에 대해 비교적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한 학생들은 특목고, 자사고로 몰리고 일반고는 소외되는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교육격차 심화를 야기하는 잘못된 정책의 결과’라고 답한 응답자가 65.4%에 달했다. ‘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현상이다’라는 응답자는 31.0%에 그쳤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보수와 진보 양쪽 모두 특목고·자사고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스스로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59.5%, 중도층 65.0%, 진보층 77.1%가 ‘잘못된 정책 결과’라고 답했다.
또 응답자들은 특목고·자사고의 순기능보단 역기능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목고·자사고가 ‘대입과정에서 특혜 등 부정적 측면이 더 크다’는 응답은 57.8%였고, ‘능력있는 인재 양성 등 긍정적 측면이 더 크다’는 답변은 38.1%에 그쳤다. 보수층에서도 부정(51.5%)이 긍정(44.3%)보다 많았다. 진보와 중도층에선 각각 66.0%와 59.3%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소수 정예’보다는 ‘모두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의견도 더 많았다. ‘교육의 역할이 무엇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열명 중 일곱명은 ‘모두의 개성과 특성을 존중해 낙오자가 없도록 하는 것’(66.8%)이라고 답했다.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육성하는 것’이라는 응답은 30.8%에 그쳤다.
성열관 경희대 교육학과 교수는 “엘리트주의 교육을 용인하는 쪽으로 수월성 정책을 잘못 세우니 고교 서열체제 문제가 나타나고, 계층을 불문하고 학생과 학부모들한테 미치는 긴장감이 크다”고 분석했다.
전정윤 기자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